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동국의식의 형성과 전개 양상
3. 조선 후기 동국의식의 화이론적 특징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단군 : 역사와 신화, 그리고 민족
역사비평
2016 .11
북한의 단군민족주의에 대한 검토
고조선단군학
2019 .06
단군신화 스토리텔링을 위한 시고 – 근대출현 단군자료 『부도지』의 활용
유라시아문화
2023 .02
조선시대 백과사전 속 ‘단군’의 표상
민족문화연구
2019 .01
근대 일본에서의 단군론의 성립
인문학연구
2016 .01
단군신화의 구조 연구 - 시대별 변천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
2015 .01
조소앙의 단군민족주의와 삼균사상
고조선단군학
2018 .06
북한지역의 단군 관련 유적과 전승
고조선단군학
2020 .12
남북한의 단군연구
仙道文化
2019 .01
근대 단군민족주의의 계승과 단군운동 : 한말에서 임시정부 수립까지
고조선단군학
2018 .12
단군의 보편화 과정 연구
仙道文化
2024 .08
북한 고대사상사에 나타난 원형 담론의 변용 : 단군 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25 .02
항일독립운동과 단군민족주의
고조선단군학
2020 .12
유·불사상을 통한 『단군신화』 인물형의 해석과 문학교육적 의의 연구
국어문학
2019 .07
남파(南坡) 박찬익(朴贊翊) 집안 소장 단군영정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8 .06
神話解釈から読み取る「三韓」認識変化とスサノヲ
日本學硏究
2015 .01
북한의 고조선 교육과 ‘김일성민족’의 단군 -1993년 이후 고등중학교 『조선력사』를 중심으로-
韓國史學史學報
2015 .01
근대 일본어 조선 설화집에 수록된 단군 신화의 양상
국문학연구
2022 .05
단군 48대 왕조사 자료 발굴과 그 의의 -민중의 손으로 쓰여진 한글본 민간사서로서의 의의를 중심으로-
仙道文化
2019 .01
1920년대 문화사학자의 민족 자각론과 한국상고사 인식
역사와 담론
2023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