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머리말
2. 수은의 문학적 교유 양상
3. 수은의 교유와 17세기 초 호남 문학
4.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호남 유학사상의 특질
동양철학연구
2004 .01
朝鮮時代 湖南儒學의 전개 양상과 의의 : 地方分權時代의 傳統思想 硏究와 관련하여
철학연구
2006 .08
호남지역의 3·1운동
군사연구
2015 .01
호남 상징으로서 義鄕論의 전개와 추이
한국사상과 문화
2009 .01
호남인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
인물과사상
2001 .08
「춘향전」과 호남적 정서와의 연관성
동양고전연구
2008 .01
호남지역 신앙공동체의 특성 : 박해시대 호남천주교회사를 중심으로
신학전망
2004 .12
지역연구(area studies)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인류학적 성찰: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석당논총
2010 .01
왜 호남은 `친노`에 등을 돌렸는가? : 호남을 인질로 이용하는 `싸가지 없는 진보`
인물과사상
2016 .03
사회적경제와 디아스포라경제의 비교 고찰: 일본 호남한상인 창업방법과 기업가정신 사례 분석
재외한인연구
2019 .01
호남인들의 부산정착과 생활연결망 : 전남 나로도와 부산 영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2012 .11
자치시대, 호남의 도전
황해문화
1995 .06
호남지역 '아기장수 전설'의 유형적 특징과 지역적 특수성에 관한 연구
코기토
2008 .02
호남적 공간의 경험들 : 전남대 호남학연구원 인문한국사업단, 『통通하다-호남의 감성』(전라도닷컴, 2011)
지방사와 지방문화
2012 .05
조선시대의 호남불교 연구의 성과와 전망
불교학보
2011 .09
근대 계몽기 『호남학회월보』의 특성 연구
국어문학
2019 .07
호남지방 교회의 역사 : 호남지방 선교 초기부터 해방 전후까지
한국기독교와 역사
1994 .12
호남 연희의 문화적 특성과 활용 방안
돈암어문학
2005 .12
한말 호남지역 의병운동의 참가층과 사회적 기반
역사연구
1992 .05
『丙子倡義錄』 연구
지방사와 지방문화
2011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