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주술과 합리적 이성의 두 상반된 시각에서 파악된 『주역』이 동아시아의 사상적 맥락 속에서, 점서역과 의리역의 갈등으로 표현되어 왔다고 생각하고 있다. 『주역』의 역사는 점서역(占筮易)의 비합리적 인식이 합리적 인식으로 대체되기를 바라면서, 의리역(義理易)을 발전시켜 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주역』의 역사는 점서역과 의리역의 갈등을 통해서 부침을 겪어 왔지만, 최근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서 공자에 의한 의리역의 출현은, 실제 점서역과 의리역을 통합적으로 이해한 결과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후인들은 두 역 해석의 경향을 대립적으로 파악했기 때문에, 『주역』의 전체적 의미를 해명할 수 없었다. 이후 주자에 의해 다시 통합의 계기가 마련되고, 그 결과 역리(易理)의 수립이 이어졌다. 역리의 의미는 우주의 선험적 질서 혹은 우주의 예비된 선험적 이념이 역의 괘상과 역사(易詞) 속에 담겨져 있으며, 이것을 이해하는 것은 자연의 질서뿐 아닌 인간의 우주적 의미 곧 덕의 실현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후인들은 점서역과 의리역의 대립을 조장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주역』은 부분적으로 이해되었고, 근대적 세계의 압도적인 영향 속에서 주술의 지위로 전락하게 되었다. 그러나 점서역은 의리역으로 대체되어 사라진 것이 아니라, 『주역』의 역사에서 『주역』의 창조적 해석의 순간은 점서역과 의리역을 통합시키면서 가능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계몽주의 시기 서양으로 건너간 『주역』은 기호논리학의 탄생에 자극을 주었고, 그때 전해진 『주역』은 점서역과 의리역을 통합하기 위해 『주역』을 재해석한 성리학의 주역이었다. 결과적으로 이 역학은 서양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것이다. 이후 과학적 합리주의를 편향적으로 강조한 근대적 세계의 부분적ㆍ편파적 세계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 융에 의에 『주역』은 다시 재해석된다. 이때 융은 동아시아인들이 공식적으로 회피했던 점서로서의 『주역』이 가진 사유방식을 적극 탐구하여, 그것의 의미가 근대 세계에서 결여되어 있는 부분이라는 것을 해명한다. 그리고 그 결과 근대 세계에 상보적인 측면 곧 인과율에 상응하는 또 하나의 보편적인 원리인 동시성원리를 제창하게 된다. 『주역』의 역사 속에서 이것은 점서역과 의리역의 통합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점서역과 의리경긔 통합이란 인간의 합리적 사유방식과 합리적이지 않은 사유방식의 통합이다. 『주역』의 역사에서 볼 수 있듯이, 창조의 한 계기는 합리 속에 동거하고 있는 비합리적 요인을 배타적 대립으로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두 계기를 통합하면서 성취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has a standpoint that the interpretations on the I Ching which have understood in contradiction to each other find expression in the conflicts between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and the philosophical I Ching in the historical contexts of East Asia. The history of I Ching has shown the gradual developments of philosophical I Ching, expecting the irrational understanding on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to be replaced with rational one. Recently archeological excavations evidenced that there were close connections between Confucius and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This might result from fact that integrated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and the philosophical I Ching. For descendants, however, understood these two tendencies of interpretation with very contradictory things, I Ching could not be understood wholly. Since then, two interpretations of I Ching were wholly unified by Zhu Xi, and the philosophical principle of I Ching was established by him. This principle means that there is a priori meaning in the universe, and already prepared idea in the universe has been existence. And also a priori meaning can be found out through the hexagrams, and if grasping the meaning, human beings can realize his own virtue. Unfortunately, descendants misunderstood Zhu Xi's philosophical messages, and merely have promoted the old conflicts. I Ching continued to understand partly and partially, and during the modernization period, western rationalism made I Ching mere occult arts or manuals.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however, was not replaced with the philosophical I Ching. It did not disappeared. The integrative understanding on both aspects of I Ching interpretations have offered the opportunities of creative interpretation to I Ching. At Enlightenment, I Ching motivated the symbolic logic. At that time, that I Ching was text that integrated by Zhu Xi. After modern period, recent times, lung tried to overcome the scientific world view, which partly and partially emphasized on scientific rationalism. lung reinterpreted I Ching as occult arts or text, and proposed that I Ching is based on another principle i.e, synchronicity, correspondent to causality in the whole universe. In the history of I Ching, this interpretation may be a kind of integrative understanding on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and the philosophical I Ching. The integration of divinatory oracle and philosophical I Ching is equal to the integration of rational and irrational thinking in human being. As will be seen in the history of I Ching, opportunity of creation does not exclude irrational factors from rational factors, rather have to integrate each other to accomplish whole understanding on universe. Ignoring another function of I Ching as occult arts, I Ching may lose life force and become meaningl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