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周易』은 세계의 변화를 64卦의 기호체계로 표상한다. 각 괘는 다시 각각의 여섯 爻로서 변화를 구체화한다. 이로써 세계의 존재구조와 그 변화양상이 묘사된다. 이러한 기호체계는 다시 『周易』에서의 독특한 언어로 표현된다. 이것이 『周易』의 卦辭와 爻辭이다. 이 卦辭와 爻辭의 핵심 요소는 象이며, 丁若鏞 易學 이해의 관건이 되는 바의 物象이다. 『周易』의 언어가 象을 핵심요소로 하므로 그 해석의 관건이 象에 있다는 것이 象數易家의 관점이며, 丁若鏞의 易學은 이 관점을 따른다. 象數易에서 『周易』의 텍스트를 해석하는 방법은 매 卦마다 그 卦象易에서 삼획패로서의 8卦를 추출, 그에 상응하는 象과 卦爻辭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 연관성은 그 기호와 언어의 측면에서 『周易』 텍스트 전반에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구현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64卦 속의 兌卦는 『周易』에서 말하는 기호와 언어의 체계 중 전체적 상호연관성 중 일정한 국면을 표현한다. 그러면서 그것은 다른 국면과 연계된다 象數易家들, 그리고 그 계통의 丁若鏞은 兌卦를 이러한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丁若鏞의 易學 관점에 따르면, 兌卦의 卦辭는 세계의 변화를 묘사함에 있어서 兌卦로 상징되는 상황이 변하지 않은 경우를 지시하며, 그 爻辭의 각각은 그 위치의 획의 음양의 상태가 다른 상태로 변하여 다른 卦로 변해 간 경우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말해, 初九는 兌卦가 困卦로, 九二는 兌卦가 隨卦로, 六三은 兌卦가 ?卦로, 九四는 兌卦가 節卦로, 九五는 兌卦가 歸妹卦로, 上六은 兌卦가 復卦로 변해 간 것을 말한다. 丁若鏞 易學에 있어서 이에 관한 규칙을 爻變이라고 한다, 이것으로 兌卦와 그에 연계된 다른 卦와의 관련성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卦 사이의 상호관련성은 卦 사이의 연원관계를 말하는 推移의 측면에서도 이야기된다. 丁若鏞은, 이러한 것을 『周易』의 기호와 언어를 해석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내세운다. 이때 중요한 관건은 그러한 기호와 언어를 매개하는 物象이다 丁若鏞은 爻變과 推移의 규칙으로 육획괘로서의 兌卦의 기호에서 그 구성요소로서의 삼획괘에 상응하는 物象을 추출하고, 또 다른 규칙으로서 그 이면을 지시하는 互體를 적용, 그로부터 삼획괘들을 얻어 그에 상응하는 物象을 추출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그 卦爻辭의 성립과정을 알 수 있다는 것이 丁若鏞의 역학관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