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시작하는 말
Ⅱ. 天地人 三才之道와 時
Ⅲ. 64卦의 時와 時義 그리고 時用
Ⅳ. 變化의 의미와 時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邵康節易學과 王夫之易學의 비교분석-卦 生成構造 비교와 同異點 모색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2018 .01
邵南 尹東奎의 『시경』 이해의 양상
동방한문학
2018 .01
한국역학사 서술을 위한 일본역학사 연구 고찰과 제언 ― 吳偉明과 陳威瑨의 연구를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2024 .05
『시경』 속의 ‘소설’, 소설 속의 『시경』-조선시대 한문소설에서의 『시경』 인용 양상 연구-
한국한문학연구
2016 .12
사계의 주역 철학
한국사상과 문화
2019 .01
기호학을 통한 『주역』의 이념과 감정 분석: 무왕 서사를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2021 .09
분석심리학의 동시성원리와 『주역』의 통(通) 개념
철학∙사상∙문화
2015 .01
「서괘전」에 함의된 공부의 관점 - 태괘(泰卦)에서 이괘(離卦)까지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논집
2018 .01
후천세계가 지향하는 인간상 탐구 - 정역의 지인(至人) 중심으로 -
대순사상논총
2015 .12
정치 행위의 메뉴얼(manual)로 읽는 <주역>
동서철학연구
2023 .03
서경덕 학파와 조선 성리학의 민중화 - 서경덕의 易哲學을 중심으로 -
철학논총
2020 .10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according to Tao Teh Ching
Journal of Humanities Therapy
2019 .12
≪주역≫의 상(象)에 대한 미학적 분석
동아인문학
2017 .03
불법연구회 一圓八卦圖의 내력과 역철학적 의미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3 .03
「서괘전」에 비추어 본 교육의 과정- 건(乾)⋅곤괘(坤卦)에서 태괘(泰卦)까지를 중심으로
한국철학논집
2018 .01
생물 해석관점에 나타난 주역인문학—현륙(莧陸)과 석서(鼫鼠)의 동식물 해석 사례 중심—
민족문화연구
2023 .02
유가 천명의 역학적 해석- 천명과 인성론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
대동철학
2018 .09
『周易』에 내재한 종교성과 현대적 의의
철학∙사상∙문화
2017 .01
<아기장수>와 <허생전>의 새로운 세상 구축을 위한 과정과 그 의미 -『주역』의 천화동인괘(天火同人卦)와 관련하여-
겨레어문학
2016 .12
화택규(火澤睽)의 과학적 해석
동서철학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