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民 관련개념의 어원
3. 民의 정치적 의미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 고대 유가의 ‘민’ 관념 : 정치의 주체인가 대상인가?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14 .09
조선시대 정치적 공공성의 성격 변화 : ‘民’을 중심으로
정치사상연구
2013 .05
『맹자』에 나타난 통치자의 자질론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08 .09
개화사상에서의 민(民)의 관념
정치정보연구
2004 .12
정치사상 연구의 현황과 방향모색
한국정치학회보
1987 .12
중국 권위주의 정치체제의 형성과 지속 : 정치권위에 대한 비교사상사적 접근
한국정치학회보
2018 .12
조선조 위민정치와 복지사상의 탐색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14 .09
정치사상 연구의 50년사 : 현황, 경향 및 문제점
한국정치학회보
1996 .02
중국의 사회주의민주정치 구상: “인민의 복귀(bring the people back in)”
국가전략
2015 .01
고대 중국 정치사상에서의 보수와 진보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13 .03
The System of the People's Court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저스티스
1990 .08
정치가 정도전(鄭道傳) 연구
아세아연구
2003 .03
플라톤 '국가'의 민주정 비판과 이상 국가 구상: ‘정치’와 ‘통치자’에 대한 새로운 전망
지역과 세계
2011 .01
정치적 의무의 정치화 : 자유주의 의무론 비판
한국정치학회보
1994 .03
도덕군주론 : 고대 유가의 聖王論
한국정치학회보
2004 .03
춘추시대의 정치적 사유에 대한 연구 : 『詩傳』과 『春秋左氏傳』을 중심으로, ‘권력과 통치(governing) 중심의 정치적 사유’와 ‘규범 중심의 정치적 사유’간 갈등적 지형 형성과 전개 과정 탐색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09 .03
한국정치사상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02 .03
유가정치사상에 있어서의 주체
21세기정치학회보
2002 .12
맹자의 천명관이 지닌 정치적 함의 : 정치적 의무에 기초한 권력의 정당성 기제
한국정치학회보
200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