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한글 논문개요
영문 논문개요
Ⅰ. 머리말
Ⅱ. 동학의 내포지역 전래와 확산
Ⅲ. 동학농민전쟁의 발발과 내포지역의 동향
Ⅳ. 9월 재봉기와 내포지역 농민전쟁의 전개
Ⅴ.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동학농민군의 저항문화와 상징
역사연구
2018 .12
일본군의 동학농민군 학살기록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8 .08
1894년 동학·반동학 세력의 ‘義擧’ 선취 투쟁과 지역 사회의 대응
역사와 담론
2020 .01
서부경남지역의 동학농민혁명 확산과 향촌사회의 대응- 趙性家의『月皐日記』를 중심으로-
南冥學硏究
2014 .01
「제14회 한일시민이 함께 가는 동학농민군의 역사를 찾는 여행」과 홀로 after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12
제1차 동학농민전쟁 시기 농민군의 진격로와 활동양상
동학연구
2002 .02
1894년 강진지역 동학농민전쟁과 다산 정약용의 『경세유표』
다산과 현대
2015 .12
제2차 동학논민전쟁과 일본군 : 포획 농민군 처리문제를 중심으로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6 .10
동학농민전쟁과 미술 : 한국 현대 역사화의 도도한 흐름을 일구다
역사연구
2015 .06
동학농민군의 지향: 근대인가 반근대인가?
내일을 여는 역사
2014 .06
청일전쟁에 있어 일본군의 동학농민군 진압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05 .02
역사기행 동학농민군의 피로 물든 지리산
역사비평
1992 .11
동학농민운동기 전후 조선 정부의 호남지역에 대한 인식변화와 대책
동학연구
2008 .03
역사기행 강원도에 서린 동학농민군의 발자취
역사비평
1990 .11
全羅道 茂朱地域의 동학농민혁명 전개양상
동학연구
2002 .09
집중분재 전봉준과 동학농민전쟁 ④농민군의 전면 항쟁과 그 최후
역사비평
1990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