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서문
역사적 배경
인구팽창과 “탐욕스런” 한족의 등장
생존의 이해
생존을 가능케 함
점령지로서의 자궁
유동적인 민족 개념
반란 이후의 회교도
추도 의식
유산: 두 마을 이야기
정체성 재형성
결론
감사의 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의 무슬림 정체성
Muslim-Christian Encounter
2010 .11
기억하라 기억하라
복음과 신학
2007 .08
1930~40년대 수학여행의 사회 문화적 맥락과 서사화의 의미
로컬리티 인문학
2017 .10
전쟁기 문학을 통한 정체성의 재구성 : 북한문학에 나타난 마산·충북양민학살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2014 .06
국내 무슬림 전도와 양육방안
미션네트워크
2018 .02
Engendering Modern Korea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2 .12
세계사 속의 5.18 -피털루, 잘리안왈라공원, 그리고 광주-
역사학연구
2019 .01
집단학살의 기억과 서사적 대응
현대소설연구
2011 .04
거창민간인학살사건과 증언시의 논리
한국문학논총
2004 .01
1931년 식민지 조선 반중국인 폭동의 학살 현장 검토
史叢(사총)
2019 .01
간토(関東)대지진과 지바(千葉)에서의 조선인 학살의 추이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4 .04
학살에 관한 두터운 기술의 시작 : 『가면권력―한국전쟁과 학살』 (한성훈, 후마니타스, 2014)
역사비평
2014 .11
경남지역 민간인 학살 연구의 현황과 과제
역사와경계
2005 .09
영화 우크라이나에서 온 편지(‘Everything is Illuminated’) : 학살. 그리고 그 이후의 ‘생존’에 대한 이야기
HOMO MIGRANS
2011 .05
魯迅의 ?懷舊?에 나타난 서사적 특성 연구
세계문학비교연구
2005 .01
현단계 서사론의 과제와 전망
인간·환경·미래
2010 .04
6 · 25전쟁 개전 초기(1950.6-9) 민간인 집단희생과 한국 기독교의 관계
한국기독교와 역사
2016 .03
양민학살사건에 따른 공동체문화의 파괴와 민속문화적 대응양상 : 전남 함평군 월야면 양민학살사건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2002 .06
시진핑 시대 중국의 세계 담론과 중국서사의 동향
중국지식네트워크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