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한국어 초록
1. 들어가며 : 방송 미디어의 배치와 시간의 문제
2. 방송 미디어의 시간 구조화 : 정기성과 동시성, 일상적 규칙성의 형성
3. 근대와 타자, 그리고 라디오 : 방소을 통한 시간규율
4. 근대화와 텔레비전 : 발전주의와 일상적 규칙성의 확대 재생산
5. 나가며 : 방송 미디어, 근대적 시간의 구조화 조건
참고문헌
영어 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텔레비전 방송시간 자율화와 24시간 사회 등장의 문화적 의미
방송통신연구
2005 .12
한국방송의 기원 : 초기 라디오 방송에서 제도, 편성, 장르의 형성과 진화
한국언론학보
2004 .12
시간을 기다리며
중등우리교육
1995 .12
[美 미시간大] 그저 한바탕 꿈이었을까
관훈저널
2006 .09
시간의 저 편
초등우리교육
1997 .10
"연구할 시간도 안주고 잘 가르치라니요?"
초등우리교육
1996 .06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의 방송 개념의 재정립
방송통신연구
2012 .04
인터넷, 전통적 미디어, 그리고 생활시간 패턴 : 시간 재할당 가설의 제안
한국언론학보
2005 .04
미디어 교육과 공영 방송의 역할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004 .12
사회적 시간체제의 재구축 : 노동세계와 생활세계의 변화를 위하여
비판사회정책
2012 .02
시간연구의 특성과 ′생활시간 조사′개발 과정
조사연구
2000 .01
독일 방송개념 규명논쟁에 관한 연구 : 주관적 및 객관적 방송자유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03 .06
방송의 디지털화와 주파수 정책
방송통신연구
2012 .01
스마트 미디어 확산에 따른 방송 서비스 규제 이슈 : 공영방송사의 N스크린 서비스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2013 .01
교육방송 공사화, 이제 '시간'이 없다
중등우리교육
1994 .07
교육방송 공사화, 이제 '시간'이 없다
초등우리교육
1994 .07
매체간 균형발전을 위한 지상파방송의 산파적 역할 : 지상파방송 뉴미디어 참여
방송통신연구
2003 .12
컴퓨터 게임 이용과 생활시간 패턴 : 시간 재할당 가설의 검증
한국언론학보
2008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