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한국어 초록
1. 동아시아 담론의 맥락과 공동체주의
2. 공동체주의와 관련 쟁점들
3. 어떤 공동체주의이며 무엇이 문제인가?
4. 공동체주의 논쟁의 과제
참고문헌
ENGLISH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 재구성 시도
사회와 철학
2014 .10
반응적 공동체주의에 근거한 효 이해
기독교교육 논총
2019 .01
자치이념으로서의 공동체주의: 지방화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시민윤리학회보
2009 .01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주요 논쟁점에 대한 검토
동서사상
2007 .08
공동체의 미래
사회와 철학
2019 .04
무비판적 공동체 담론의 문제와 대안
인문콘텐츠
2019 .12
공동체주의의 철학적 변형 : 공적과 정체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1998 .06
개인과 공동체
사회와 철학
2012 .04
다문화주의와 관련된 몇 가지 쟁점들
철학연구
2008 .08
공동체주의 공동체의 한계와 현대적 조건에서 현실적인 공동체
도시인문학연구
2016 .01
열린 공동체주의를 향하여
철학연구
2001 .12
공동체주의의 그림자 : 신보수주의의 정당화 논리
사회와 철학
2015 .04
한국 동아시아담론의 현재와 미래 : ‘동아시아공동체론’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2015 .09
자유의 한계 그리고 공동체주의
철학연구
1999 .06
자유의 한계 그리고 공동체주의
철학연구회 학술발표논문집
1999 .06
동아시아 공동체의 가능성과 시민사회
사회와 철학
2006 .04
자유주의 - 공동체주의 논쟁의 한국적 의미
철학연구회 학술발표논문집
1999 .06
순자철학과 공동체주의
양명학
2004 .02
동아시아 공동체 사유와 ‘하나’로조화로운 공간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2016 .01
한국의 동아시아공동체론 : 동양철학의 관점으로 본 동아시아공동체론
오늘의 동양사상
2006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