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長壽王 집권초기의 高句麗와 北魏의 交涉
Ⅲ. 460년대 이후 高句麗의 親北魏外交와 百濟
Ⅳ.「魏虜의 百濟侵入」記事에 보이는 兩國關係의 實態
Ⅴ.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7세기 고구려 대왜(對倭) 관계의 변화 - 630년을 기점으로 -
역사와현실
2005 .09
高句麗와 北齊의 關係-552년 流入 送還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2001 .09
高句麗史
성곡논총
1997 .07
韓國 史書에 나타난 高句麗의 正體性
고구려발해연구
2004 .12
北方民族史에서 본 高句麗의 正體性 : 鮮卑, 契丹, 柔然을 중심으로
고구려발해연구
2004 .12
고구려와 북방민족의 관계에 대한 중화인민공화국 학계의 견해
고구려발해연구
2007 .12
中國 內 高句麗遺蹟에서 出土된 高句麗土器 硏究
중국사연구
2007 .01
4~5세기 고구려에 유입된 중국계 인물의 동향-문헌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2003 .12
중화인민공화국 학계의 고구려 유민 연구 검토
고구려발해연구
2007 .12
고구려와 突厥의 전쟁
고구려발해연구
2006 .09
고구려 中期天下觀의 推移
고구려발해연구
2008 .03
中國學界의 高句麗 對外關係史 硏究現況
한국고대사연구
2003 .09
高麗의 高句麗 繼承意識
고구려발해연구
2004 .12
高句麗 古墳壁畵와 同時代 中國 北方民族 古墳美術과의 比較硏究
고구려발해연구
2007 .09
高句麗의 西方政策과 對北魏關係의 定立 : 高句麗의 ‘專制海外’를 둘러싼 北魏의 認識 변화를 중심으로
역사와실학
2004 .09
고구려 후기 고구려, 수ㆍ당, 북방 제국의 대립관계
고구려발해연구
2007 .12
고구려 발해의 상관성 연구와 과제
고구려발해연구
2008 .07
3세기 전반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고구려의 대외정책
역사학보
2007 .06
고구려의 대남제외교와 그 성격
동방학지
2019 .01
고구려 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의 정체성 연구
고구려발해연구
2007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