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序言
Ⅱ. 韓ㆍ中 史書의 ‘高句麗’ㆍ‘高麗’ 混用과 高句麗繼承認識
Ⅲ. 高句麗 滅亡 後 復興運動과 高句麗 繼承 問題
Ⅳ. 高麗太祖의 出身과 高句麗 繼承意識
Ⅴ. 高麗의 建國理念
Ⅵ. 結論
〈Abstract〉
『高麗의 高句麗 繼承意識』討論文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韓國 史書에 나타난 高句麗의 正體性
고구려발해연구
2004 .12
高句麗史
성곡논총
1997 .07
중화인민공화국 학계의 고구려 유민 연구 검토
고구려발해연구
2007 .12
漢과 高句麗의 關係
고구려발해연구
2002 .12
고구려 남진정책의 성격과 그 영향- 평양기 고구려 천하의 위상과 의의 -
대구사학
2009 .01
中國學界의 高句麗 對外關係史 硏究現況
한국고대사연구
2003 .09
고구려와 북방민족의 관계에 대한 중화인민공화국 학계의 견해
고구려발해연구
2007 .12
中國 內 高句麗遺蹟에서 出土된 高句麗土器 硏究
중국사연구
2007 .01
唐朝의 高句麗人軍事集團
동북아역사논총
2009 .06
고구려 발해의 상관성 연구와 과제
고구려발해연구
2008 .07
4~5세기 고구려에 유입된 중국계 인물의 동향-문헌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2003 .12
北方民族史에서 본 高句麗의 正體性 : 鮮卑, 契丹, 柔然을 중심으로
고구려발해연구
2004 .12
고구려 후기 고구려, 수ㆍ당, 북방 제국의 대립관계
고구려발해연구
2007 .12
고구려 中期天下觀의 推移
고구려발해연구
2008 .03
[기획1 : 한ㆍ중 역사인식의 접점] 「광개토왕릉비」에 나타난 고구려의 대중인식(對中認識)과 대외정책
역사와현실
2005 .03
朝鮮 時代의 高句麗 認識
고구려발해연구
2004 .12
고구려 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의 정체성 연구
고구려발해연구
2007 .12
高句麗 '民族'問題 認識의 現況과 課題
한국고대사연구
2003 .09
麗ㆍ濟戰爭史의 再檢討
고구려발해연구
2006 .09
壁畵를 通해서 본 高句麗의 옷차림文化 : 中國 및 北方地域과의 比較를 中心으로
고구려발해연구
2004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