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上帝와 心 개념으로 비교한 정약용과 최제우의 사유
민족문화
2022 .07
洪晉猷의 필기 저작 『終南漫錄』 연구
고전과 해석
2021 .08
정지용 문학에서의 ‘조선’이라는 기표의 의미 - ‘기행 산문’과 ‘고향 시편’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2019 .01
노론 천주교인 김건순의 삶과 신앙 : 심문기록 분석을 통한 순교 여부를 중심으로
신학전망
2022 .06
정지용 시의 디아스포라 의식과 ‘조선적인 것’의 의미
비교한국학
2023 .04
정지용 연구의 범위와 가능성 : 새로 발간된『정지용 전집』(2015)의 발간 의의
한국시학연구
2015 .12
정지용 번역 연구(2) : 번역과 창작 사이, 자기 변용적 창조 - 그리스 신화의 모티프 차용을 통한 시적 변용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21 .08
남구만의 교유인물과 『약천집』 「시」의 편집성향
우리문학연구
2018 .07
정제두와 서인-노론계의 학술 교유
양명학
2019 .03
朝鮮文人對‘心畵說’的接受和發展的研究
동양학
2017 .01
정지용 번역 연구(1) : 정지용 초기 시 번역의 특징 - 정지용의 타고르(R. Tagore)와 블레이크(W. Blake) 시 번역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20 .10
중국 명·청 통속문학 삽화와 조선후기 미인도와의 관계
숭실사학
2018 .01
『鄭芝溶詩集』에 나타난 비애의식 연구
국제언어문학
2020 .04
王陽明 心學의 精神世界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5 .10
조선후기 미인도와 일본 에도시대(江戶時代, 1603-1867) 우키요에 미인화와의 관계성 고찰
역사와 담론
2018 .10
정지용의 ‘民謠風詩篇’과 초기시의 다양한 형식에 나타나는 비근대적 사유의 양상
어문학
2015 .03
로렌스와 메를로 뽕띠의 세잔론
D. H. 로렌스 연구
2022 .12
조선시대 관청 제명기(官廳 題名記) 창작의 시대적 맥락
국문학연구
2017 .01
조선 전기 심학의 전개에 관한 연구 : 象山학문의 수용태도와 비판논점 분석을 중심으로
양명학
2018 .04
낙론의 심학적 전환과 도학적 역사의식
유학연구
2016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