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 초록
1. 서론
2. 선진, 중국(中國)과 화하(華夏) 개념의 등장
3. 위진남북조, ‘중화’ 개념의 출현: 타자는 중국민(中國民)이 될 수 없다
4. 당송, ‘중화’ 개념의 보편화: 타자도 중국이다
5. 원‧명‧청, ‘중화‘ 개념의 발전: 중국(nation)만이 중화다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he Zhonghua Community Strateg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Establishment of Rituals and the Change in Ming’s Attitude toward Joseon
Korea Journal
2023 .12
2015 개정 동아시아사 교육과정 · 교과서의 화이론 및 17~19세기 ‘中華 의식’ 서술 분석
역사교육
2020 .12
Zongfan and Zhonghua as Interpretative Concepts for Seeing the Qing: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Yuanchong Wang’s ‘Joseon Model’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2 .12
중국 탈서구중심주의 담론의 아포리아 : 20세기 국민국가와 중화민족 이데올로기의 이중성
중국근현대사연구
2015 .12
≪勸善金科≫ — 중화와 내륙 아시아 불교문화의 조화
중국어문논총
2022 .04
조선후기 중화의식의 변용과 그 성격-조선중화의식의 실상에 대하여-
학림
2019 .01
현대 중국의 “중화민족” 입헌(入憲) 과정 및 그 함의 분석
중국지식네트워크
2024 .05
‘중화민족공동체’ 의식의 기원과 전개 과정
동북아역사리포트
2023 .04
지식 패러다임의 反轉과 ‘帝國夢’ : ‘中華’의 再普遍化로
중국근현대사연구
2015 .12
民國時期 傅斯年 史學의 興衰 : 과학주의와 민족주의의 연쇄
역사학보
2018 .12
柳重敎(1821~1893)의 춘추대의, 위정척사, 중화, 소중화
민족문학사연구
2016 .01
중화(中華)에 대한 현대한국의 태도와 수행의 한 기원 -해방 후 김광주의 문학과 번역 다시 보기
현대소설연구
2025 .03
中國致公黨의 設立 過程 -中華革命黨과 美洲 洪門致公堂의 對立을 中心으로-
중국사연구
2018 .01
사상적 연원과 시대적 흐름을 통해 본 시진핑(習近平) 정부의 중화민족주의 강화
민족연구
2017 .01
평안남도 중화지역 3·1운동의 전개와 참여자 분석
역사와 담론
2020 .04
[만만한 세계사] 중화주의의 심장, 중국의 자금성 : 명·청시대 600년의 역사가 깃들다
유레카
2024 .08
《太平廣記》 中華書局本에서 나타나는 어휘문제 고찰 — 通行本과 여러 板本 間의 異文을 중심으로
중국문학연구
2024 .05
자초한 전쟁이 아닌, 피할 수 없었던 전쟁 ― 병자호란의 성격과 역사적 의미에 대한 새로운 해석 [서평] 허태구(2019), 『병자호란과 예, 그리고 중화』, 소명출판, 387쪽.
인문논총
2019 .01
A Composite Centrality: Interpreting Centralitywithin Zhu Xi`s Zhongyong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17 .08
『열하일기』와 중화(中華) 개념
개념과 소통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