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5호16국의 고구려 책봉 양상
Ⅲ. 5호16국의 책봉 경향
Ⅳ. 前燕·後燕의 고구려 책봉 배경
Ⅴ. 前燕·後燕의 책봉에 대한 고구려의 외교적 대응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6세기 중・후반 북조의 책봉과 삼국의 대응
사림
2024 .04
前燕 속의 ‘高句麗系 流民’
이화사학연구
2021 .12
북위와 고구려의 사례를 통해 본 책봉의 의미
한국사연구
2023 .09
新羅 國學의 敎授法과 官吏登用
역사와교육
2018 .01
고구려의 對후연관계와 요동 확보의 의미
고구려발해연구
2024 .11
韩中两国中学教师聘用过程对比研究
중국학
2015 .01
高句麗와 ‘三燕’의 境界
고구려발해연구
2016 .03
延安 後期의 文化運動 연구
중국문학
2020 .01
모용선비 전연(前燕)의 부여 · 고구려 질자(質子)
동북아역사논총
2017 .09
동아시아의 정치적 정세와 高句麗의 동향-397年(廣開土王 6年)∼400年(廣開土王 9年)을 중심으로-
대구사학
2015 .01
顔延之〈赭白馬赋〉소고
건지인문학
2020 .01
4세기대 고구려의 국제관계와 이주민 동향
고구려발해연구
2023 .11
고구려와 북조의 조공관계 성격
한국사학보
2019 .05
세형동검문화기 요양지역 소위 ‘연’ 무덤의 출현과 그 배경
학림
2024 .03
延安의 文化運動論과 知識人 연구 — 延安 前期의 文藝界를 중심으로
중국문학
2018 .01
6세기 동아시아에서의 책봉호의 정치적 의미 — 국제정세의 변동과 백제의 책봉호에 반영된 인식을 중심으로 —
사림
2018 .01
遭遇와 衝突로 高句麗 後期를 이해하다 -김진한, 2020, 『고구려 후기 대외관계사 연구』-
선사와 고대
2021 .01
가야 諸國과 고구려의 관계
한국고대사연구
2020 .06
5세기 초·중반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과 고구려의 외교정책
역사와현실
2022 .06
延安整風運動과 지식인 연구- 王實味事件을 중심으로
중국문학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