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허선혜 (전북대학교)
저널정보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 인문학 로컬리티 인문학 제32호
발행연도
2024.10
수록면
195 - 216 (22page)
DOI
10.15299/tjl.2024.10.32.19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Eight Scenic Views of Pyongyang - Eulmildae(乙密臺), Bubyeokru (浮碧樓), Yeongmyeongsa(永明寺), Botongmun(普通門), Geomun(車門), eryeondang(愛蓮堂), Yongsan(龍山) and Matan(馬灘) - formed a unique cultural landscape by interacting with historical events and human activities and were reproduced through various classical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the cultural landscape of Pyongyang Eight Views in classical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cultural landscape that recreates the history of Goguryeo and recalls the King Dongmyeong. Second, it is an architectural landscape that contains memories of war and establishes the boundary of separation. Third, it is a cultural landscape that reflect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 such as banquets, boating, listening to the rain, and recreation and desire for rest. Fourth, it is a symbolic cultural landscape that is the source of inspiration for writers. Even in modern North Korea, the Eight Scenic Views of Pyongyang forms an axis of regional identity as a cultural landscape representing Pyongyang.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이론적 논의
3. 고전문헌 속 평양팔경 문화경관 인식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5-02-091044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