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주목받지 못한 문제작, 고한승의 첫 동화 「옥희와 금붕어」
2. 「옥희와 금붕어」, ‘창작동화와 동화극집’ 『무지개』탄생의 씨앗
3. 남은 과제 : 색동회 ‘동심주의 문학’의 기원과 고한승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동화치료의 연구동향 분석 : 2008∼2017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
2019 .01
일본 아동잡지『긴노후네(金の船)』수록 조선동화의 수용과 변개 양상에 관한 일고찰 -「은혜 모르는 호랑이」를 중심으로 -
일본문화학보
2023 .05
동화를 활용한 공간 구성과 콘텐츠 개발 방향 : 송월동 동화 마을의 공간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6 .12
『조선동화대집』과 『그림동화집』의 비교 연구
한국문학논총
2024 .04
(Un)visualizing Korea in the World: The Issue of the Translator in the Collection of Modern Korean Fairy Tales and the Politics of the World Fairy Tale Series
Korea Journal
2024 .09
중국 초등 部编版 어문(语文) 교과서 동화 분석
한국아동문학연구
2022 .12
손진태 역사동화 연구
韓國古典硏究
2019 .01
근대 어린이 이미지의 발견과 번역·번안동화집
현대문학의 연구
2017 .06
옛이야기의 활용과 ‘새로운’ 가능성 - 옛이야기와 동화의 ‘아름다운 이별과 재회’를 위해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9 .12
아시아동화집 출판과 콘텐츠활용 연구- 아시아인의 상호이해와 교감을 위한 성찰 -
동아시아고대학
2018 .01
박영만 『조선전래동화집』의 스토리텔링 기법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2015 .02
루이스 새커의 소설 『구덩이』에 나타난 동화적 특성
영미문학교육
2018 .01
중국 초등학교 신편(新编) 『조선어문』 교과서의 동화 연구
한국아동문학연구
2020 .06
1930년대 《동아일보》 유년(幼年)동화 연구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6 .12
북한의 아동문학관과 동화 창작 방법론
동화와 번역
2016 .12
오가와 미메이(小川未明) 동화에 있어서의 ‘무사도’ 고찰 ― 전시하 동화를 중심으로 ―
日本語敎育
2020 .01
일본 고전문학의 근대 대중화 양상과 국민동화—시마즈 히사모토(島津久基)의『일본국민동화12강』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2018 .01
동화치료의 사례와 유형 분석: 2010-2014
동화와 번역
2015 .01
남북한 초등 국어교과서 수록 전래동화 비교 연구
동화와 번역
2016 .01
동화원전을 활용한 동화콘텐츠의 공간ㆍ체험형 콘텐츠화 연구 테마파크 적용사례에 대한 실천적 탐구를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