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지영 (경인교대)
저널정보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아동청소년문학연구 아동청소년문학연구 제19호
발행연도
2016.12
수록면
51 - 77 (27page)
DOI
10.24993/JKLCY.2016.12.19.5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space construction and content development utilizing fairy tales.
I analyze spatial storytelling of the fairy tales village in Songwoldong. The concept of this village and spatial organization are derived from world classic fairy tales. Its place identity began from fairy tales and tourists travel there to enjoy the fairy tales of this area.
I suggest directions for spatial storytelling that make full use of the fairy tales through : 1) the creation of character branding of the place 2) the publication of storybooks reflecting Songwoldong contents 3) finding the space to represent the alley 4) retaining the space and considering how to communicate it with a story, and 5) the construction of space and contents that utilize Korean fairy tal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foundation of a storytelling project to construct space and develop its contents by utilizing fairy tales.

목차

1. 들어가며
2. 장소, 장소 정체성, 공간 스토리텔링의 개념 탐구
3. 송월동 동화 마을의 공간 스토리텔링
4. 동화를 활용한 공간 스토리텔링 방향 탐색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806-002153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