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EU’s normative power and its transformation in foreign policy
Ⅱ. EU’s strategic autonomy amidst US-China competition
Ⅲ. Conclusion
Reference
국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대학생의 EU 학습과 EU 공헌도 인식에 대한 실증연구
유럽연구
2017 .03
EU와 주요 EU회원국의 배터리 공급망 정책의 차이점: 대중국 전략
유럽연구
2023 .08
온실가스 배출 감축 정책과 EU의 규범적 권력
유럽연구
2022 .02
유럽 전략적 자율성 추구를 위한 EU의 전략
국가안보와 전략
2022 .12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KIEP] 연구보고서
2021 .12
규범권력과 규범적 위협 개념을 바탕으로 본 EU 가치 훼손에 대한 EU의 대응 - EU의 헝가리·폴란드 법치주의 훼손 사건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EU연구
2021 .08
EU 운송분야 기후변화 대응과 회원국 간 차이
EU연구
2021 .08
한국언론에 비춰지는 유럽연합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주요일간지 및 경제지를 중심으로
유럽연구
2016 .12
EU의 대북정책 실행과 한계에 관한 연구
국가안보와 전략
2019 .01
EU’s Strategy for Cultural Diplomacy and Its Implication for EU-Korea Cultural Relations
유럽연구
2024 .08
중장기통상전략연구 : EU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EU 협력 방안
[KIEP] 중장기통상전략연구
2022 .12
EU 무역정책의 특징과 향후 전망
통상정보연구
2020 .06
EU의 “2030 기후, 에너지 정책 기본 틀”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 : EU ETS와 CCS를 중심으로
유럽연구
2015 .06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KIEP] 연구보고서
2023 .12
Evolving Relations, Changing Perceptions?: The Reflection of EU Representations in South Korea
EU연구
2020 .01
‘제트-레그’ 증상 극복과‘정책-설정자’로의 전환: 비세그라드 협력
EU연구
2017 .01
EU 운송분야 기후변화 대응과 지방자치단체: 한국의 지방자치단체 “부산”에 주는 함의
EU연구
2022 .08
A Study of Ex Post Realized Trade Effects of Korea-EU FTA
관세학회지
2015 .05
국내 대학의 유럽학 연구 및 교육 조직과 활동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유럽연구
2021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