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金庭久美子 (目白大学)
저널정보
한국일본어학회 일본어학연구 일본어학연구 제81집
발행연도
2024.9
수록면
23 - 43 (21page)
DOI
10.14817/jlak.2024.81.2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198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작문에서 평가 항목을 밝혀내고, 앞으로의 작문 평가에 응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작문에서의 평가 항목에 주목하여, 문헌을 사용하여 비교 및 고찰을 진행하였다. 먼저, 1981년부터 2012년까지의 8개의 문헌에서 보이는 작문의 평가 항목에서는 “문법”, “어휘”, 정확성”중시되었는데 , 90년대 이후에 “풍부함”이라는 항목이 없어지고, 2000년 이후에는 학습자의 질적 변화로 인해 “구성”이라는 항목이 마련되었으며, 2010년 이후에는 쓰기 활동 목적의 변화로 인해 “독자”라는 항목이 마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田中・阿部(2014)와 金澤編(2014) 의 비교를 진행하였다. 양자의 평가 항목은 유사하며, “과제”, “정확성”, “구성”, “독자”, “형식 및 문체”가 기본적인 평가 항목임이 시사되었다. 더 나아가, 2015년 이후의 루브릭을 사용한 작문 평가에 관한 10개의 문헌의 평가 항목 분석 결과, 아카데믹 라이팅의 경우 특히 “구성”을 중시하고 있으며, “독자”가 주목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작문 평가를 할 때, “과제”, “정확성”, “구성”, “독자”, “형식 및 문체”의 5가지 기본적인 항목에 대해 모두 같은 비중을 두는 것이 아니라, 쓰기의 목적에 따라 평가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할 것을 제안하였다.

목차

Abstract
1. はじめに
2. 日本語教育における作文評価の変遷
3. 今後求められる作文の評価とは
4. 終わりに
参考文献
요지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4-02-090659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