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郭再祐 宜寧 倡義의 含意
군사
2015 .09
6・25전쟁과 유재흥 -주요 전투에서의 작전 수행을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연구
2021 .08
수운 최제우 유적지의 풍수적 특성과 비보
동학학보
2020 .01
한말 청양인의 의병투쟁
충청문화연구
2016 .06
근대 의병전쟁의 교육사적 의미에 대한 일고찰
한국교육사학
2015 .12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竜之介)의 "장군(將軍)"론: ‘전쟁 및 N 장군’에 대한 인식 고찰
한일군사문화연구
2016 .01
정의로운 대한민국, 베트남 전쟁에 대한 성찰로부터
민주법학
2017 .07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之介)의 "김 장군(金將軍)"론 -"김 장군"의 역사적 의미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역사인식-
한일군사문화연구
2021 .12
조선 정부의 임진왜란 대응 및 역할
국가정책연구
2020 .01
[선비 정신의 미학 70] 임진왜란 때 의병 지휘해 대승 이끈 망우당(忘憂堂) 곽재우 : 선비의 신출귀몰 병법, 사무라이를 베다
월간중앙
2022 .01
이정암과 연안성 전투의 군사적 의의
한국군사학논총
2019 .01
이광 장군의 인격
인격교육
2023 .02
임진전쟁 초기 경상좌도 일본군의 동향과 영천성 전투
군사
2015 .06
Moon Jae-in and the Politics of Reform in South Korea
Global Asia
2018 .09
일제강점기 교사 윤재천이 본 조선의 초등 과학교육
초등과학교육
2022 .05
임진왜란 시 영천성 탈환 전투와 군사적 의의
정신전력연구
2019 .05
壬辰倭亂 初期 靑陽地域 義兵 蜂起와 活動
충청문화연구
2016 .06
계백장군을 활용한 지역 관광콘텐츠 개발 방안
한일군사문화연구
2019 .01
임진왜란의 구술기억과 구술집단의 역사의식- 전남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
호남학
2015 .12
6·25전쟁기 호주군의 참전 과정과 가평지구전투
한국군사학논집
2020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