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일본군의 편성과 특징
3. 영천성 주둔 일본군의 실상
4. 결론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영천 전투의 정치・군사적 의미 재검토
대한정치학회보
2024 .05
임진왜란 시 영천성 탈환 전투와 군사적 의의
정신전력연구
2019 .05
6·25전쟁기 영천전투의 재조명
한국군사학논집
2021 .02
[서평] 국제관계의 구조 속에서 임진전쟁을 재조명하다 - 김문자 저, 『임진전쟁과 도요토미 정권』 -
군사
2021 .09
조선 정부의 임진왜란 대응 및 역할
국가정책연구
2020 .01
일본 조선군기물(朝鮮軍記物)에 그려진 칠천량 해전(漆川梁海戰) -근세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일본언어문화
2016 .01
임진전쟁과 민족의 탄생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9 .12
전쟁에서 발생하는 전투의 규모와 빈도 관계에 적용되는 멱함수 분포에 대한 연구
Crisisonomy
2021 .08
임진전쟁시기 영천성수복전투의 전개과정과 군사사적 특징
군사
2020 .03
부산포 해전의 바른 역사적 명명을 위한 試稿
동북아 문화연구
2024 .09
6·25전쟁기 호주군의 참전 과정과 가평지구전투
한국군사학논집
2020 .06
임진왜란 연구의 회고와 제안
군사
2016 .09
임진왜란 시 청주성 전투에 관한 실증적 고찰
한국군사학논총
2020 .01
壬辰倭亂 初期 靑陽地域 義兵 蜂起와 活動
충청문화연구
2016 .06
텍스트마이닝과 연결망을 활용한 이순신의 임진년 활동 및 상황 분석
한국행정사학지
2020 .01
아리마 세이호(有馬成甫)의 『조선역 수군사(朝鮮役水軍史)』(1942)에 보이는 이순신 비판론
군사
2020 .03
북접농민군의 전투방식과 영동 용산전투
동학학보
2018 .09
북접농민군의 교단 거점 수비와 청주 일대의 전투
동학학보
2017 .06
약포(藥圃) 정탁(鄭琢)의 전쟁시를 통한 임진전쟁에 대한 인식분석
군사
2021 .03
임진강 수자원의 남북 공동이용 및 관리방안
정책연구
2022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