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선비 정신의 미학 | 109] 승려가 된 선비 매월당(梅月堂) 김시습 : 절의로 빛나는 방랑의 생육신
월간중앙
2025 .04
[제1장] 왜 민주주의 3.0인가? `선비민주주의`를 향하여
선진화 정책시리즈
2017 .07
[선비 정신의 미학 88] 직언 불사한 ‘절의의 선비’ 충재(冲齋) 권벌_사화 속에서도 강직함과 격조를 지키다
월간중앙
2023 .07
[새연재-유성운의 역사로 본 부동산 이야기 | 1] 가난한 선비들 살던 동네, 일제강점기 때 180도 달라져 : 〈딸깍발이〉 선비는 왜 남산골에 살았을까
월간중앙
2024 .09
한국의 명산: 조선시대 선비들의 문학공간
국토
2021 .10
[김소연 기자의 ‘영화로 보는 茶 이야기’ (27) 비긴 어게인] 말차는 어쩌다 ‘사무라이의 차’가 되었나 - “사무라이들이 전쟁 나갈 때 이걸 마셨대”
매경럭스맨
2024 .08
북 리뷰: 《시간의 압력》_군주의 눈에 띌 것인가, 후대의 선비를 향해 쓸 것인가
신문과방송
2021 .07
[선비 정신의 미학 72] 호남을 대표하는 유학자 하서(河西) 김인후 : 시대 바로 이끄는 ‘지식인의 지조’ 보여주다
월간중앙
2022 .03
충북 선비문화유산 활용방안 연구 : 신항서원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2017 .12
[선비 정신의 미학 | 102] 새로운 조선, 경세치용(經世致用)으로 제시하다 : 실학의 문을 연 반계(磻溪) 유형원
월간중앙
2024 .09
[선비 정신의 미학 89] ‘동방의 노스트라다무스’ 격암(格庵) 남사고_동서 분당과 임진왜란을 예언하다
월간중앙
2023 .08
[이성연의 경제 이야기] 밥그릇에 맞아 죽은 선비
넥스트 이코노미
2017 .05
[선비 정신의 미학(94)] 인물독립운동사〈기려수필〉기록한 송상도 : “식민지 민초들의 저항이 춘추 정신이다”
월간중앙
2024 .01
[선비 정신의 미학 91] 소론의 사상적 원류 우계(牛溪) 성혼_마음을 다스리고 다른 학설에 귀를 열다
월간중앙
2023 .10
주니어 사무라이 외
더스쿠프
2025 .04
[선비 정신의 미학(93)] 13도의군 도총재 의암(毅菴) 류인석 : “오랑캐 일본 물리쳐야 유교문화 지킨다”
월간중앙
2023 .12
[선비 정신의 미학 76] 상해 임시정부를 이끈 국무령 석주(石洲) 이상룡 : 나라 잃은 지도층의 의무 오롯이 보여줘
월간중앙
2022 .07
‘딸깍발이 선비’ 이희승에 대한 비판적 이해
교육비평
2018 .11
[선비 정신의 미학 85] 퇴계와 이기(理氣) 논쟁 벌인 고봉(高峯) 기대승_나이와 지위 넘어 논박하되 겸허를 잃지 않다
월간중앙
2023 .04
[선비 정신의 미학 86] 내면의 성장을 공부한 성재(惺齋) 금난수_학문보다 스승 퇴계의 인품을 본받다
월간중앙
2023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