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머리말
2. 교간에 대한 조일 양국의 인식과 처벌
3. 1707년 교간사건과 양국의 대응
4. 1711년 통신사 파견과 신묘약조 체결
5. 신묘약조 성립의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후기 왜관 통제와 교간사건의 처리 : 1859년 교간사건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
2016 .08
朝鮮通信使와 對馬島의 關係
日本語敎育
2017 .01
조선초기 대마도의 向化倭人 平道全
군사연구
2016 .01
일본의 국가권력과 賣春防止法
日本思想
2019 .01
17세기 후반 조일관계와 右京圖書 교섭
한일관계사연구
2021 .08
對馬島人 退去 이전의 朝日交涉
한일관계사연구
2017 .08
谷口園 鄭象觀의 『史記』 애호와 그 의의 -「讀馬史」 및 南漢朝와의 왕복 서한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4 .08
‘東藩’에서 ‘誠信’으로 : 17세기 후반 對馬藩의 외교적 수사 전환
한일관계사연구
2024 .08
삼포왜란후(三浦倭亂後)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대일외교(對日外交) 논리와 전략
해양문화재
2021 .12
조선 역관의 ‘書契僞造’ 사건과 1811년 通信使
한국민족문화
2016 .08
접경지대(Contact Zone)의 개념으로 보는 이문화 접촉의 의미 ― 조선시대 일본인 마을 왜관(倭館)에서 발생한 교간사건을 중심으로 ―
일본학보
2019 .01
Whose Law to Apply?: Kwon I-jin’s Official Report of a 1707 Waegwan Legal Dispute
Korea Journal
2020 .06
조선총독부의 성병예방정책과 <화류병예방령>
사림
2016 .01
1419년 대마도 정벌 전후 조선과 명-일본의 표면적 신뢰와 내면적 불신
한국사연구
2025 .03
1443년(세종 25) 계해약조 체결의 의미
한일관계사연구
2020 .11
외교 무대 뒤의 은밀한 물품 거래 -1811년 조선, 일본, 쓰시마-
동아시아고대학
2022 .03
거리에서 개입하기 : 광주지역 성매매 청소녀 지원활동을 중심으로
생명연구
2022 .02
Discourse on the Prostitution Abolition of Japanese Society in Colonial Korea During the 1920s-30s: Focusing on 『Chosen and Manshu(朝鮮及滿洲)』, 『Chosenkoron(朝鮮公論)』
일본학보
2019 .01
朝鮮世宗期1·2차 通信使와 對日政策의 기조
역사와실학
2019 .08
Beyond Frontiers and Borderlands: A Reexamination of Tsushima’s/Taema-Do’s Geopolitical Position in Fifteenth Century East Asia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21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