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朝鮮時報에 기재된 가타카나표기 考察 - 191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의 <광고>를 中心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1 .04
『조선시보』를 통해 본 일제강점기 스포츠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0 .11
조선 전기 사대부 문인의 松都에 대한 기억과 그 변주
동양한문학연구
2015 .06
일제 강점기 개성지역의 근대 풍경 연구 - 『高麗時報』의 10人발행동인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4 .06
1930년대 후반 『조선시보(朝鮮時報)』의 「가정란」 고찰 - 여성 독자를 대상으로 게재된 문예물을 중심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0 .11
『朝鮮時報』의 문자표기 고찰
日本語敎育
2023 .03
해방기 『문화시보』의 매체적 위치와 의미 연구
반교어문연구
2015 .01
일제강점기 발행 신문 『조선시보』의 <사령>양상 고찰 - 1910년대 지면을 중심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2 .04
‘송백(松柏)’과 ‘세한(歲寒)’ 도상 출현과 의미의 변화 - 김정희 <세한도(歲寒圖)> 연구 I
인문학연구
2021 .01
일제강점기 부산발행 일본어신문의 외래어표기연구 - 조선시보와 부산일보를 중심으로 -
일본문화연구
2024 .01
조선시보 광고란의 양상 - 마크와 심벌을 중심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1 .04
「조선시보」에 게재된 기획기사 해제 - 연재 기사를 중심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0 .11
17세기 관료문인들의 ‘송도삼절’과 개성 이미지 - 최립의 문장·차천로의 시·한호의 글씨를 중심으로
역사와현실
2022 .12
日本の一時保護担当者のWell-being-乳児院の一時保護担当の保育士·看護師等のWell-being-
일본문화연구
2020 .07
일제강점기 부산발행 일본어신문에 대하여- 『조선시보』를 중심으로 -
항도부산
2018 .01
日本の乳児院の一時保護機能に関する尺度開発 - 乳児院の一時保護委託の調査をもとに -
일본문화연구
2025 .04
재일한인 여성의 경제활동과 교육문제에 관한 소고 - 『민중시보』와 『여맹시보』 기사에 투영된 현실 -
한일관계사연구
2022 .11
식민지 ‘지역언론’에서 ‘제국언론’으로 -신문체제와 지면을 통해 본 『조선시보』의 특징과 의미-
항도부산
2019 .01
남효온의 송도유람과 「松京錄」의 울울한 여정
한국한문학연구
2015 .06
대구의 초창기 일본어 신문과 『조선시보』「경북판」․「지방판」의 양상
일본어문학
2024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