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ntroduction
Rituals and Relations with the Mongols under Nurhaci’s Reign
Changes in Meeting Rites during the Tiancong Era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the 1636 Investiture Rites
Conclusion
BIBLIOGRAPHY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시대 생전예수재의 설행과 의미
불교학연구
2019 .01
조선총독부 제정 「의례준칙」의 보급과 시행실태
민속학연구
2016 .12
立大木·솟대 祭儀의 등장과 전개에 대한 試論
한국고고학보
2018 .01
신라의 희생제의
사림
2018 .01
의례설행과 수행인식의 접점―수행의례 연구를 중심으로
불교문예연구
2019 .01
조선 초기 王室祖上儀禮의 유교적 정비
한국사학보
2017 .02
Buddhist Ontology and Miniaturization : Enacting Ritual with Nonhuman Agency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17 .12
朝鮮初期 國家儀禮 정비의 지향과 원칙- 吉禮·凶禮의 상호 영향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15 .01
고려시대 국왕 관련 의례 연구의 성과와 제언
동방학지
2019 .01
고려전기 宣麻儀의 구성과 의례 검토
史叢(사총)
2019 .01
唐의 祀典 체계와 신라의 祀典 정비
신라사학보
2019 .04
인도의 불교의례와 그 변용
불교문예연구
2019 .01
高麗齋醮研究
도교문화연구
2017 .05
『满洲四礼集』与『家礼』之关系研究
유학연구
2024 .08
『家禮疾書』와 『星湖禮式』의 역사성
민족문화연구
2020 .01
고대인도 제식에서 물의 다양한 역할
인도철학
2019 .01
마니산 참성단 도교의례 음식의 역사적 맥락과 형태
도교문화연구
2021 .11
고려시대 제사유적과 산천제 : 월출산 유적과 부안 죽막동 유적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2016 .12
明代 儀禮와의 비교를 통해 본 조선시대 俗祭의 성격
동아시아고대학
2021 .12
예학자 신독재 김집 전설 고찰
한국언어문학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