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Introduction
Background
Prohibited Expressions in the Children’s Essays
Omissions of the Massacre in the Government Publications
Imperialism and Rationalization of the Massacre
Remembrances in the Oral History
A Difficult Path to Acknowledgement
Conclusion
BIBLIOGRAPHY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관동대지진, 타자를 향한 시선
일본어문학
2022 .11
관동대학살에 대한 조선인들의 인식과 대응 ― 사건 이후 조선에서 결성된 단체를 중심으로 ―
사림
2017 .01
조선인 학살과 유언비어, 배제와 연대의 서사
일본학보
2024 .02
관동대지진 직후 조선인에 대한 표현양상– 9월부터 11월까지 기록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
2017 .01
관동대진재와 한인 학살 ? 그 망각과 기억의 소환
공존의 인간학
2021 .02
관동대지진 100년(2023), 학살 희생자 추념과 기억 : 황모과, 「연고, 늦게라도 만납시다」와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
동악어문학
2023 .10
간토대학살 이후 조선인 귀환에 대한 연구
역사연구
2024 .09
ジェノサイドの残響を聞く― 現代日本におけるヘイト情動の浮上と関東大震災の記憶 ―
일본학보
2024 .02
난징대학살 기념관의 전시와 기억
사림
2020 .01
100주년에 재검토하는 일본 간토(関東)대지진 시의 조선인학살 사건 ― 일본 정부기관과 사법부의 책임을 중심으로 ―
일본학보
2024 .02
관동대학살에 대해 해외 조선인이 생산한 문건과 그 성격
동국사학
2022 .08
동일본대지진 이후 정부개발원조 예산삭감을 둘러싼 일본사회 내의 갈등
일본문화학보
2015 .08
살림과 연대의 극적 상상력 : 배봉기 희곡 〈물의 노래〉에 나타난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2024 .06
제2대와 제4대 국회의 학살사건 처리 비교 연구 : 특별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2019 .03
관동대지진과 가와바타 야스나리 문학
외국학연구
2024 .09
세계사 속의 5.18 -피털루, 잘리안왈라공원, 그리고 광주-
역사학연구
2019 .01
관동대지진 이후 조선 지식인들의 일본에서의 삶 : 유진오의 「귀향」과 염상섭의 「숙박기」를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18 .04
모세의 시내산 제노사이드의 폭력 메커니즘 연구 ― 출애굽기 32장 소위 ‘황금 송아지’ 사건을 중심으로
신학사상
2024 .06
국가폭력인가 집단 간 폭력인가? -인도네시아 1965~66년 학살에 대한 해석들
역사비평
2020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