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관동대학살에 대해 해외 조선인이 생산한 문건과 그 성격
동국사학
2022 .08
1923년 관동대학살을 둘러싼 쟁점과 과제
역사비평
2023 .11
제노사이드의 관점으로 본 관동대학살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3 .02
『진판옥 일기』 -한 식민지 조선 청년의 관동대학살 체험기-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3 .08
Where are the Victims? Remembrances of the Massacre of Koreans during the 1923 Great Kantō Earthquake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0 .12
난징대학살 기념관의 전시와 기억
사림
2020 .01
관동대진재와 한인 학살 ? 그 망각과 기억의 소환
공존의 인간학
2021 .02
제2대와 제4대 국회의 학살사건 처리 비교 연구 : 특별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2019 .03
살림과 연대의 극적 상상력 : 배봉기 희곡 〈물의 노래〉에 나타난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2024 .06
간토대학살 이후 조선인 귀환에 대한 연구
역사연구
2024 .09
세계사 속의 5.18 -피털루, 잘리안왈라공원, 그리고 광주-
역사학연구
2019 .01
6 · 25전쟁 개전 초기(1950.6-9) 민간인 집단희생과 한국 기독교의 관계
한국기독교와 역사
2016 .03
Building the Post-Traumatic Nation: Mourning and Melancholia in Korean Films about the Gwangju Massacre
Korea Journal
2021 .03
모세의 시내산 제노사이드의 폭력 메커니즘 연구 ― 출애굽기 32장 소위 ‘황금 송아지’ 사건을 중심으로
신학사상
2024 .06
1572년 8월 24일, 생 바르텔르미 대학살
프랑스사 연구
2018 .02
1920년대 두 번의 조선인학살-‘나카츠카와 사건, 기모토 사건’-의 실태와 관동대지진 때 학살과의 비교 분석
한일관계사연구
2020 .02
얼굴을 지우다 - 간토와 광주에서의 범주적 살인 -
철학논총
2023 .10
1931년 식민지 조선 반중국인 폭동의 학살 현장 검토
史叢(사총)
2019 .01
1920년 간도 한인(조선인) 제노사이드에 동원된 한인 경찰 -순응, 협치, 제국의 대변자-
지방사와 지방문화
2021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