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표지]
[1. 머리말]
[2. ‘중국적 세계질서’]
1) ‘조공체제’
2) ‘종번체제’
[3. 중국학계에서의 ‘종번’ 비판]
[4. 새로운 변형 해석: ‘종번(zongfan)’]
[5.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淸朝의 北京遷都와 盛京地域
동국사학
2020 .01
淸 初期 外藩(tulergi golo) 형성과정과 理藩院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01
청말 국제법 번역과 ‘藩屬’ 관련 개념의 의미 확장
중국근현대사연구
2018 .12
1850년대 나가사키의 ‘난학(蘭學) 붐’ 실태 : 1855~56년 데지마전습(出島傳習) 참가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역사학보
2018 .03
19세기 전 · 중반 사무라이의 정치화와 ‘學的 네트워크’ : 미토번과 사쓰마번을 중심으로
동양사학연구
2015 .09
1850년대 諸藩의 海防참여와 幕藩체제의 동요 : 나가사키‘해군’전습 참여기준논의와 실제참가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동양사학연구
2017 .09
조선의 승과, 선시(選試) 혁파에 대한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2019 .01
고봉원묘(高峰原妙)의 선사상 특질
동서철학연구
2016 .06
전라도의 탄생과 그 의의
역사학연구
2016 .08
海洋都市下関と朝鮮半島-朝鮮通信使を中心として-
인문사회과학연구
2019 .01
19세기 진찬의례와 군문의 재정 활용
국학연구
2021 .07
최근 중국학계 고구려사 연구(2018~2021)의 몇 가지 변화
동북아역사논총
2022 .09
淸初 三藩의 亂과 盛京 지역 주변정세의 변화
이화사학연구
2020 .01
영조 12년(1736) 老 · 少論 화해를 위한 耆老臣 宣醞 시행과 의미
사학연구
2020 .12
정호의 철학과 明代 유학의 탈주자학적 경향
양명학
2015 .12
왕양명 사구교(四句敎) 이후 양명후학의 분화와 그 여파의 극복− 고반룡(高攀龍)과 유종주(劉宗周)의 도덕주의 회복을 중심으로 −
한국철학논집
2023 .05
『槐院新參同會錄』을 통해 본 숙종대 承文院 分館과 免新禮 시행 양상
한국사학보
2024 .08
1882년 조약・장정의 체결과 속국(屬國)・반주지국(半主之國) 조선의 국제법적 지위
역사와현실
2016 .03
[特別論壇] 壇關於崔致遠的奉使入唐問題
신라사학보
2015 .08
후삼국의 개막과 사상계의 동향
신라사학보
2021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