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서론
2. 김지하와 장일순: 천주교의 사회적 가르침
3. 김지하와 서남동: 개신교 민중신학의 태동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70년대 일본에서의 김지하 담론― 《김지하: 우리에게 있어서의 의미》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2023 .06
김지하의 영성(靈性) : 1970년대 민중신학과 기독교 생명정치의 한 맥락
동악어문학
2016 .08
7, 80년대 김지하의 시학, ‘목소리’의 형식을 통한 ‘민중’과 ‘죽은 하위주체’의 역사화
한국시학연구
2019 .08
탈-이야기로 읽는 이야기 민중 신학
신학연구
2024 .06
죽재 서남동의 소수자신학 연구 : 들뢰즈/가타리 사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신학논단
2017 .06
‘밥상의 공동체’, 1980년대 김지하의 사회생태론 수용과 민중생태론의 구상
국어국문학
2024 .09
Minjung Perspective in the Theology of Suh Nam-dong Revisited
ACTS 신학저널
2016 .01
A Quest for Intercultural Theology: Converging Faith and Culture in Minjung Theology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2024 .06
안병무와 서남동의 민중신학에 관한 소고 -종교현상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신종교연구
2022 .04
소설『82 년생 김지영』을 거울로 비춰 본 중국 ‘바링허우’ 여성의 삶과 문화적 재현
중국어문학논집
2020 .06
1970년대 기독교 인간학의 출현과 수용 : 성서와 민중 이야기를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2015 .12
민중신학에서의 민중 용어의 작용에 대한 연구
신학사상
2020 .01
들뢰즈 사상의 민중신학적 이해 : ‘오늘의 민중신학’으로서의 소수자신학을 향하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6 .04
Minjung Theology and the Social Aphasia: A Dialogue with the Liberation Theology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2019 .06
Reviving Minjung Theology in the Technological Era: Kim Yong-bok’s Seontopian Zoesophia in dialogue with Theo-Dao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2023 .06
김찬국의 민중신학에 대한 서설적 접근
신학연구
2019 .06
한국적 공공 신학에 관한 연구 : 민중 신학에서 공공 신학으로
신학과 사회
2024 .08
김지하의 민중의식 변모 양상- 옥중시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2016 .01
민중의 한과 탄식, 그 원인과 극복
신학연구
201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