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I. 머리말
II. 본론
II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0년 고대 근동 연구사, 세 번의 거대한 변화
숭실사학
2023 .06
고대 근동 법률 전통의 내부적 영향과 외부적 영향 -고대 바빌론 시대와 신바빌론 시대를 중심으로-
역사학보
2024 .12
[고대] 고대사학에서 고대학으로
역사학보
2021 .09
유라시아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중국의 선사시대와 고대 - 『중국통사 1 - 고대에서 기원전 500년까지-』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20 .06
한국고대 군제사 연구의 새로운 모색 -김종수, 한국 고대․중세 군사제도사 (2020)-
백산학보
2020 .01
중국 학계의 한국 고대 역사서 연구동향과 나아갈 방향
한중인문학연구
2024 .06
테니슨의 시에 나타난 광기
19세기 영어권 문학
2025 .03
중국고대문학사 교수방법 연구 시론
중국조선어문
2018 .07
[고대 근동의 Sex & Seuxality 5] “알았다, 임신했다, 낳았다”
제3시대
2016 .04
‘동(부)유라시아사’라는 사고방식 -최근 일본에서 고대 동아시아사 연구의 신동향
동국사학
2022 .12
선사시대, 고대의 서울 연구 동향
[TCHCCOS] 서울과 역사
2018 .10
고대 중국 문자에서 본 중국인의 의사와 의료기술에 대한 탐구
한중언어문화연구
2023 .05
한국의 ‘고대’와 초기국가
한국고대사연구
2023 .06
가야제국의 발전단계와 초기고대국가론
한국고대사연구
2018 .03
고고학에서 본 한국 고대사 : 한반도의 ‘초기국가’와 고대
한국고대사연구
2023 .06
고대중국어 어법 연구의 회고와 전망 ― 한국과 중국의 연구상황을 중심으로
중어중문학
2023 .03
고대 중국의 “제국”적 특성 - 이념적 측면에서의 고찰
인문논총
2015 .01
너는 내 핏줄이다: 고대 근동의 동맹
대구사학
2020 .01
基于商品经济发展对宋代新儒学兴起影响的考察
중국학논총
2023 .06
서양고대철학의 수용과 한국화의 전망
인문학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