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구약학회 구약논단 구약논단 제22권 제3호 통권61집
발행연도
2016.9
수록면
76 - 104 (2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창세기 2장 5-6절은 한글 성경 역본들과 외국어 성경 역본들, 그리고 구약학자들 간에 그 번역/해석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서로 모순되기도 한다. 따라서 창세기 2장 5절의 시아흐 핫사데(hd,F'h; x;yfi)와 에세브 핫사데(hd,F'h; bf,[e), 그리고 6절의 에드(dae)에 대한 어휘 연구, 창세기 2장 5-6절의 본문 자체에 대한 면밀한 연구, 그리고 상호관련성이 있는 다른 본문들 속에서 살펴보는 창세기 2장 5-6절의 간본문적 해석(inter-textual interpretation)을 통하여 창세기 2장 5-6절을 보다 정확하게 번역/해석하는 것이 본 논문의 첫째 목표이다. 창세기 2장 5-6절의 기능에 관해서도 대부분의 학자들이 부분적으로만 이해하고 있거나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창세기 2장 5-6절이 그 협의의 문맥과 광의의 문맥에서 갖고 있는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둘째 목표이다. 논자는 이 두 목표를 염두에 두고 공시적/문학적 관점에서 BHS(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의 히브리어 본문을 면밀히 살펴보면서 연구를 진행했다. 창세기 2장 5절의 시아흐 핫사데(hd,F'h; x;yfi)는 구약에서 유일하게 사용되었으나, 시아흐(x;yfi)가 나오는 창세기 21장 15절과 욥기 30장 4, 7절을 참조하고, 창세기 2장 5a절와 창세기 3장 18절이 만드는 평행대구 및 창세기 3장 17ba-bb절, 18a절, 그리고 19aa절이 이루고 있는 평행대구를 통해 그 의미를 밝혀냈다. 창세기 2장 5절의 에세브 핫사데(hd,F'h; bf,[e)는, 창세기 3장 18절과 출애굽기 9장 22, 25절[2x], 그리고 10장 15절의 용례를 참조하되, 특히 창세기 2장 5절에서 처음으로 히브리어 아바드(db;[', “경작하다”)를 사용하고 그 다음으로 창세기 3장 23절에서 사용함으로써 구약에서 바로 그 두 곳에서만 나타나는 의미심장한 표현 라아보드 에트-하아다마(hm'd'a]h'-ta, dbo[]l;)에 주목하고, 창세기 2장 5절 바로 그 다음으로 에세브 핫사데(hd,F'h; bf,[e)가 나오는 창세기 3장 18절이 그 전후의 17b절 및 19aa와 이루는 평행대구를 살펴본 후 시편 104장 14절과의 관련 속에서 그 의미를 파악했다. 창세기 2장 6절의 에드(dae)는 구약에서 욥기 36장 27절에 단 한 번 더 사용되었으나, 그 곳에서의 번역/해석도 그 문맥에서 유추한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창세기 2장 6절의 에드(dae)에 대한 정확한 번역/해석을 위한 정보는 창세기 2장 6절의 주어(主語)인 에드(dae)의 술부(述部)들 및 비교 언어학으로부터 얻어야 할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비교 언어학에 기초한 기존의 주장들은 게르하르트 하젤과 마이클 하젤에 의해 신빙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심지어 하젤 부자(父子)가 새롭게 부각시켜 강화한 주장도 설득력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것은 창세기 2장 6절 자체를 주도면밀하게 살펴보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본문들과의 상호관련성 속에서 간본문적 해석을 신중하게 하지 않은 결과이다. 창세기 2장 6절의 술부에 있는 두 개의 히브리어 동사 중 알라(hl'[', “올라가다”)는 민수기 21장 17절에서 우물의 용출과 관련되어 사용되었고, 샤카(hq'v' Hiphil: “적시다, 물을 대다”)도 요엘 4장 18절[H 3:18]에서 샘으로 인한 급수와 관련해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보다 더 결정적인 것은, “창조 서사시”로 일컬음을 받는 시편 104장에서 창조 주간의 셋째 날에 해당되는 문맥에서 물과 뭍을 분리하시는 하나님의 행위 및 그 분리가 이루어진 상황에 대해 “주께서 [물의] 경계를 정하여 넘치지 못하게 하시며 다시 돌아와 땅을 덮지 못하게 하셨나이다. 여호와께서 샘으로 골짜기에서 솟아나게 하시고 산 사이에 흐르게 하사”(시 104:9-10)라고 선명하게 묘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창세기 2장 5-6절의 본문 자체에 관해서는, 창세기 2장 5a절은 접속사 키(yKi)에 의해 5b-6절과 구별되지만, 6절은 5b절과 마찬가지로 그 접속사의 지배를 받는 절이며, 시아흐 핫사데(hd,F'h; x;yfi), 즉 “가시덤불과 엉겅퀴”는 비가 오지 않아도 아래로부터 물이 적셔진 땅에서 성장과 번식을 할 수 있기에 접속사 키(yKi)가 이끄는 창세기 2장 5b절은 5a절에 대한 ‘원인을 나타내는 절’이 아니라 ‘때를 나타내는 절’로 보는 것이 논리적으로 타당하다. 게다가 창세기 2장 6절은 그 의미에 있어서 5절과 역접(逆接)으로서 접속사 키(yKi)가 이끄는 절의 연장선상에 연결하는 것이 합당하다. 창세기 2장 5-6절의 기능에 관해서는, 창세기 2장 5ab절에서 사람이 없다가 7절에서 사람이 있게 되는 상황으로의 변화, 창세기 3장과 관련하여 인간의 타락 이전에서 인간의 타락 이후로의 전환, 그리고 창세기 2장 5ba절의 “야훼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리지 아니하셨고”는 특히 창세기 7장 4a절의 야훼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려”와 동일한 히브리어 동사 마타르(rjm Hiphil)의 사용과 그 구문의 확연한 유사성으로 인해 노아 홍수와 명백히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주목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창세기 2장 5-6절에 대한 번역/해석과 그 기능에 관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창세기 2장 5절의 시아흐 핫사데(hd,F'h; x;yfi)와 에세브 핫사데(hd,F'h; bf,[e)는 “가시덤불과 엉겅퀴” 그리고 “곡물”로 각각 번역/해석해야 한다. 둘째, 창세기 2장 6절의 에드(dae)는 “분천”으로 번역/해석해야 한다. 셋째, 창세기 2장 5b절에서 시작하는 접속사 키(yKi)가 이끄는 절을 “원인을 나타내는 절” (causal clause)로 보기보다는 “때를 나타내는 절”(temporal clause)로 보는 것이 논리적으로 타당하며, 창세기 2장 6절은 5절과 그 의미에 있어서 역접(逆接)으로서 접속사 키(yKi)가 이끄는 “때를 나타내는 절”의 연장선상에 연결해야 한다. 넷째, 창세기 2장 5-6절은 “야훼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리지 아니하셨고 땅을 경작할 사람도 없었으나 분천이 땅에서 올라와 온 지면을 적셨을 때, 땅에는 가시덤불과 엉겅퀴가 아직 없었고 곡물이 아직 나지 아니하였다.”라고 번역해야 한다. 다섯째, 창세기 2장 5-6절은 히브리어 본문의 순서를 따라 다음과 같이 도식화할 수 있다. A 가시덤불과 엉겅퀴가 땅에 아직 없었고(창 2:5aa) A’ 곡물이 아직 나지 아니하였다(창 2:5ab) B 야훼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리지 아니하셨고(창 2:5ba) A’’ 땅을 경작할 사람도 없었으나(창 2:5bb) B’ 분천이 땅에서 올라와 온 지면을 적셨을 때(창 2:6) 여섯째 그리고 마지막으로, 교차대구를 이루고 있는 창세기 2장 5b-6절에서 그 중심인 5bb절(경작 모티브)은 5a절(“가시덤불과 엉겅퀴” 및 “곡물”)과 대응하며, “사람”이라는 용어를 통해 인간의 창조 기사인 7절과도 연결되고, 5bb절의 ‘경작 모티브’는 5a절의 “가시덤불과 엉겅퀴” 그리고 “곡물”과 함께 창세기 3장의 인간의 타락(참조, 창 3:17a-19aa, 23)과 마침내 연결된다. 그리고 창세기 2장 5b-6절의 교차대구의 바깥쪽 날개(outer wings)인 ‘하나님이 비를 내리지 않는 상황’ 및 “분천”의 용출은 ‘하나님이 비를 내리는 상황’과 “큰 깊음의 샘들”의 폭발적인 분출이 있는 창세기 7장의 노아 홍수와 연결된다. 그러므로 창세기 2장 5-6절은 그 협의의 문맥에서는 7절의 인간 창조를 위한 도입부의 기능을 하고 있으며, 그 광의의 문맥에서는 창세기 3장의 인간 타락, 더 나아가서는 창세기 7장의 노아 홍수를 위한 복선(伏線)의 기능을 하고 있다.

Korean Bible versions, foreign language Bible versions, and Old Testament scholars do not agree on the translation/interpretation of Genesis 2:5-6, and their translations/interpretations are even contradictory. Thus, this paper first aims to translate/interpret Genesis 2:5-6 more correctly through a terminological study on ś○aḥ haśśāḏeh (hd,F'h; x;yfi) and 'ēśeḇ haśśāḏeh (hd,F'h; bf,[e) in verse 5 and 'ēḏ (dae) in verse 6, a close study on the text of Genesis 2:5-6 itself, and an inter-textual interpretation of the text done in association with other related texts. Further, most studies have provided little or no help in understanding the function of Genesis 2:5-6. Therefore, the second goal of this study is to perceive the function that Genesis 2:5-6 has in the broader context, as well as in its immediate context. Keeping these two goals in mind, we proceeded with this research from a synchronic/ literary perspective,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Hebrew text in the BHS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Taking Genesis 21:15 and Job 30:4, 7, where ś○aḥ (x;yfi) occurs, into account, even though ś○aḥ haśśāḏeh (hd,F'h; x;yfi) in Genesis 2:5 is used only once in the Old Testament, we identified the meaning of ś○aḥ haśśāḏeh (hd,F'h; x;yfi) through the parallelisms in Genesis 2:5a and 3:18, and in Genesis 3:17bα-bβ, 18a, and 19aα. We identified the meaning of 'ēśeḇ haśśāḏeh (hd,F'h; bf,[e) in Genesis 2:5 in relation to Psalm 104:14, first taking into account its usage in Genesis 3:18, Exodus 9:22, 25[2x], and 10:15. Attention was then paid to the significant expression la'abōd 'et-hā'adāmāh (hm'd'a]h'-ta, dbo[]l;), where the Hebrew verb 'ābaḏ (db;[', "till") is first used (in Gen 2:5). It appears once more, in 3:23, these two verses being its only occurrences in the Old Testament. In addtion, we took notice of the parallelism which Genesis 3:18, where 'ēśeḇ haśśāḏeh (hd,F'h; bf,[e) occurs right after 2:5, forms with 3:17b, 19aα. The term 'ēḏ (dae) in Genesis 2:6 occurs once more (in Job 36:27) in the Old Testament, but its translation/interpretation there is nothing but a deduction from its context. Thus, the information for the exact translation/interpretation of 'ēḏ (dae) in Genesis 2:6 seemed to have to be obtained from the predicate which corresponds to 'ēḏ (dae), the subject ofGenesis2:6,andfromcomparativelinguistics. However,theexisting views, based on comparative linguistics, were proven to be unconvincing by Gerhard F. Hasel and Michael G. Hasel, and even the view that they newly highlighted and reinforced is not clearly persuasive. The reason is that they neither meticulously read Genesis 2:6 itself, nor carefully did inter-textual interpretation of it in association with other related texts. The Hebrew verb 'ālāh (hl'[', "go up"), which is one of the two Hebrew verbs in the predicate of Genesis 2:6, is used for the going up of a well in Numbers 21:17, and the other Hebrew verb レāqāh (hq'v' Hiphil: "cause to drink water, give to drink") is also used for the water supply of a spring in Joel 4:18[H 3:18]. A much more decisive fact is that, in the context corresponding to the third day of the Creation week in the so-called "Creation epic" (Ps 104), God's activity separating the dry land from the waters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separation is completely done is vividly portrayed in verses 9-10 (ESV): "You [God] set a boundary that they [the waters] may not pass, so that they might not again cover the earth. You make springs gush forth in the valleys; they flow between the hills." In regard to the text of Genesis 2:5-6 itself, verse 5a is differentiated by the conjunction k○ (yKi) from verses 5b-6, but verse 6 is a clause which is dominated by the conjunction just as verse 5b is. And it is logically proper to regard the clause of Genesis 2:5b, which starts with the conjunction k○ (yKi), not as a causal clause but as a temporal clause for verse 5a, since ś○aḥ haśśāḏeh (hd,F'h; x;yfi), that is, "thorns and thistles" can grow and propagate on the earth which is watered from below without rain. Besides, Genesis 2:6, which, as for its meaning, has a disjunctive relation with 2:5, must be seen to be in line with the k○ (yKi) clause. As for the function of Genesis 2:5-6, we paid attention to the change of the situation from verse 5aβ (no man) to verse 7 (man's coming into being), to the transition from the pre-Fall situation in Genesis 2 to the post-Fall situation in Genesis 3, and to the fact that, especially compared with Genesis 7:4a ("I [Yahweh God] will rain on the earth"), Genesis 2:5bα ("Yahweh God did not rain on the earth") is clearly related to the Flood by the same Hebrew verb māṭar (rjm Hiphil) and the apparent similarity of the syntax. Through this study, we hav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in regard to the translation/interpretation of Genesis 2:5-6, as well as its function. First, ś○aḥ haśśāḏeh (hd,F'h; x;yfi) and 'ēśeḇ haśśāḏeh (hd,F'h; bf,[e) in Genesis 2:5 should be translated/interpreted as "thorns and thistles" and "grain/cereals" respectively. Second, 'ēḏ (dae) in Genesis 2:6 should be translated/interpreted as "fountain." Third, it is logically proper to regard the clause in Genesis 2:5b, which starts with the conjunction k○ (yKi), not as a causal clause but as a temporal clause, and Genesis 2:6, which, as for meaning, has a disjunctive relation with 2:5, to be in line with the k○ (yKi) clause.
Fourth, Genesis 2:5-6 should be translated/interpreted: "When Yahweh God did not rain on the earth and there was not a man to till the ground but a fountain went up from the earth and watered the whole face of the ground, none of thorns and thistles were yet in the earth and no grains yet sprouted up." Fifth, Genesis 2:5-6, following the order of the Hebrew text, can be schematized as follows. A noneofthornsandthistleswasyetintheearth(2:5aα) A' and no grain yet sprouted up (2:5aβ) B when Yahweh God did not rain on the earth (2:5bα) A'' and there was not a man to till the ground (2:5bβ) B' but a fountain went up from the earth
and watered the whole face of the ground (2:6) Sixth and last, in Genesis 2:5b-6 which makes a chiasm, its chiastic center 2:5bβ (the motif of tilling) corresponds to 2:5a ("thorns and thistles" and "grain") and is linked by the term 'ādām (~d'a', "man") to 2:7, which is the story of man's creation, whereas the 'motif of tilling' in 2:5bβ, along with "thorns and thistles" and "grain" in 2:5a, is ultimately connected with the story of man's fall in Genesis 3 (see vss. 17a-19aα, 23). The 'situation in which God did not rain' and the going up of a "fountain" which are the outer wings in the chiasm of Genesis 2:5b-6 is connected with the story of the Flood in Genesis 7 which is related to the 'situation in which God rained' and the explosive gushing of "all the fountains of the great deep." Genesis 2:5-6, therefore, functions in its immediate context as the introduction to the story of man's Creation in Genesis 2:7, and in its wider context as an advance hint of the story of man's Fall in Genesis 3, and further of the story of the Flood.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4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023-001890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