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재은 (총신대학교)
저널정보
신학지남사 신학지남 神學指南 제90권 제1집(통권 제354호)
발행연도
2023.3
수록면
223 - 263 (41page)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기독교 윤리학과 인간은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그 이유는 먼저 구원받은 인간이 되어야 비로소 기독교 윤리학을 행하는 능동적인 주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윤리학과 인간 사이의 관계가 이처럼 불가분의 유기적 관계라면 인간 본성(human nature)과 윤리학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 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인간 본성의 ‘상태’에 따라 윤리학의 가능 여부, 실행 여부, 실행 결과 등이 현저하게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의 목적이 바로 이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기독교 윤리학과 인간 본성의 상태 사이의 관계성을 다각도로 규명하며 인간 본성의 각 상태에 따라 기독교 윤리학의 본질, 속성, 적용 등이 어떻게 바뀔 수 있는지를 요목조목 드러내는 것이다. 본고는 이를 인간 본성의 4중 상태의 빛 아래서 할 것이다.
인간 본성의 4중 상태 개념은 일찍이 4-5세기 교부였던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354-430)가 전개했던 개념인데 죄를 짓지 않을 수도 있고 죄를 지을 수도 있는 상태(posse non peccare et posse peccare), 죄를 짓지 않을 수 없는 상태(non posse non peccare), 죄를 짓지 않을 수도 있는 상태(posse non peccare), 죄를 지을 수 없는 상태(non posse peccare)로 인간 본성을 각각 구별해 설명한 개념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 본성의 4중 상태 개념은 후대의 신학자들에게 많은 영감을 끼쳤고 그중에서도 17-18세기 스코틀랜드 장로교 신학자였던 토머스 보스턴(Thomas Boston, 1676-1732)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 보스턴은 『인간 본성의 4중 상태』(Human Nature in its Fourfold State)라는 책을 집필하면서 인간 본성의 상태를 무죄(innocence)의 상태, 본성(nature)의 상태, 은혜(grace)의 상태, 영원(eternity)의 상태로 나누어 설명했다.
본고는 보스턴의 『인간 본성의 4중 상태』의 내용을 중심으로 기독교 윤리학과 인간 본성 사이의 관계성을 규명할 것이다. 연구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보스턴의 서술을 중심으로 인간 본성의 4중 상태 개념을 지·정·의라는 전인(全人)의 개념 하에 각각 정리할 것이다. 특히 이 부분에서 인간 본성의 각 상태가 구원론과 기독교 윤리학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 다음 앞선 모든 논의들 안에 서려 있는 실천적 고찰을 살핀 후, 모든 논의를 최종적으로 요약·정리하며 본고를 마무리 짓도록 하겠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글
2. 인간 본성의 4중 상태 개념 정리
3. 실천적 고찰
4.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