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Monitoring and assessing human exposure to microplastics via foods consumption
환경독성보건학회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2022 .05
노출평가 방법론에 대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22 .06
국내외 소비자 제품 노출평가모델을 이용한 노출량 비교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24 .02
Inhalation exposure assessment of airborne microplastic derived from wearing facial masks
환경독성보건학회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2024 .10
Association between long-term exposure to PM10 and mortality: comparison across different exposure assessment approaches
환경독성보건학회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2017 .05
Public behavior and awareness of mask litter as microplastic source
환경독성보건학회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2023 .11
Health Effects of Microplastic Exposures: Current Issues and Perspectives in South Korea
Yonsei Medical Journal
2023 .05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시간활동양상에 따른 톨루엔 개인노출의 영향요인 분석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17 .01
흡입 노출 모델 알고리즘의 구성과 시나리오 노출량 비교
한국산업보건학회지
2019 .01
가습기살균제 사용에 따른 피해 신청자들의 특성 및 노출평가 오류 영향요인 분석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19 .01
국내 주요 식품군 중 미세플라스틱 검출수준 및 식품섭취를 통한 미세플라스틱 노출량 평가
환경독성보건학회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2022 .05
Complex effect of microplastics on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plants
환경독성보건학회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2021 .10
노출 모델의 화평법 적용성: ECETOC TRA와 Stoffenmanager Tier 1 노출 모델을 활용한 벤젠의 작업자 노출 평가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18 .01
노출평가에서 젠더 요소 분석 : EPA 노출계수 핸드북 2011을 중심으로
환경독성보건학회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2017 .10
주거환경 및 개인 생활습관에 따른 화학물질 노출수준 차이 -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19 .01
근로자 노출평가제도 내 위험성평가 방법론의 적용
한국산업보건학회지
2015 .01
일부 생활화학제품의 소비자 노출 기반 안전성 평가
환경독성보건학회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2017 .05
Derivation of Exposure Factors Depending on Usage Behavior of Products for Human Use
환경독성보건학회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2024 .10
제품사용환경에서 위해도평가를 위한 한국형 노출 시나리오 개발 연구
환경독성보건학회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2021 .10
The current status of studies of human exposure assessment of microplastics and their health effects: a rapid systematic review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2021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