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의 THAAD 배치와 중국의 대응전략
민족연구
2016 .01
사드와 한국의 국익
민족연구
2016 .01
한반도 안보정세와 한중 비즈니스: 사드정국을 중심으로
중국지식네트워크
2020 .01
사드(THAAD)의 한국배치와 美中 우주군사 전략과의 상관성 연구
중국학논총
2018 .01
사드 배치와 중국의 대한국 강압외교 동인
동아연구
2018 .01
한국 사드(THAAD) 배치와 미중 군사전략 충돌
중국학논총
2017 .01
주한미군 사드(THAAD) 배치 결정에 대한 북한의 보도행태 및 전략적 함의: 『로동신문』과 『우리민족끼리』기사를 중심으로
동아연구
2017 .02
언론 보도 및 사회적 인식과 군 대응에 관한 연구: 사드(THAAD) 배치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23 .02
한반도 내 THAAD 배치와 미국의 전략
민족연구
2016 .01
2016년 사드위기와 1914년 잔더스위기의 비교연구 - 위협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023 .04
한국의 사드 배치와 러시아의 반응에 대한 고찰
민족연구
2016 .01
미국은 왜 사드 배치를 서두르는가?
인물과사상
2017 .05
第四次朝核试验后中韩关系的挑战与应对策略
한중관계연구
2016 .01
사드(THAAD)와 한국 보수주의의 중국인식
역사비평
2017 .11
中國對“薩德”問題的認知與中韓關系的轉圜
중국학
2017 .01
사드와 한반도 미래 : 한중관계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황해문화
2017 .06
조선의 세력균형과 한국의 사드 배치 상관관계 연구 - 조선「징비록」과 한국의 인간안보를 비교하여 -
군사연구
2017 .01
한반도 사드배치 이후 중국 온라인 미디어 분석을 통한 제주도 이미지 제고방안 연구
중국학
2019 .01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와 한반도다자안보체제 구축 가능성 고찰
중국지식네트워크
2015 .03
수교 이후 한중관계의 평가와 신형관계(新型關係)를 위한 정책제언
아시아문화연구
2020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