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홍은경 (경희대학교)
저널정보
중부고고학회 고고학 고고학 제20권 제3호
발행연도
2021.12
수록면
5 - 28 (24page)
DOI
https://doi.org/10.46760/jbgogo.2021.20.3.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은 암사동유적의 주거지에서 출토된 토기의 문양 분석을 바탕으로 유적의 시간적 위치를 살펴본 것이다. 암사동유적은 중서부지역은 물론 한국 신석기시대 전반에 걸쳐 영향력이 매우 큰 중요한 유적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시간성을 명확하게 밝히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는 다양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암사동유적의 물질자료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오랜 기간에 걸친 누적과 혼재의 결과라고 하더라도 시기에 따른 자료를 구분할 수 없다면 암사동유적은 시간적, 공간적으로 다른 유적과의 관계를 검토하고 유적의 성격을 가늠하는 기본 자료로써 가치를 부여하기 어렵다. 암사동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의 문양은 매우 다양하지만, 시간적 흐름을 비교적 민감하게 반영하면서 동시에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문양 종류는 한정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가진 주요 문양을 선별하여 분석 자료로 삼았다. 문양구성 분석에 따르면 암사동유적의 주거지는 네 개의 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결과는 시기적 차이보다 오히려 주거지의 위치와 관련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모든 주거지를 동일한 시기의 것으로 볼 수는 없지만, 고고학적 시기가 분명하게 구분된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그렇다면 암사동유적은 어느 시기에 해당하는 유적일까? 암사동유적 주거지에서 출토된 토기의 문양구성을 중서부지역 전기와 중기 전반의 대형 주거유적과 비교한 결과 암사동유적은 중기 전반의 여러 유적과 좀더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적 전체에 대한 결과는 아니지만, 암사동유적 일부 주거지에 대한 시간적 위치를 비정함으로써 동시기 여러 유적과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4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