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Mahāyāna(大乘)인가? Mahājñāna(大智)인가? (1) -십지경 제2지에 보이는 두 용어의 혼동(混同)에 관하여-
불교연구
2019 .01
『십지경』 ‘삼계유심’구에 대한 유가행파와 중관학파의 해석
한국불교학
2016 .01
『십지경』 ‘非初非中後’ 게송과 그에 대한 『십지경론』 주석의 이해
불교학보
2016 .03
고대세계의 지혜의 개념
기독교교육정보
2023 .06
신학적,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지혜
기독교교육정보
2022 .09
승랑의 유무상즉과 원효의 생멸상즉
불교철학
2019 .01
원효와 세친의 주석서에 나타난 일심의 여래장설
불교철학
2018 .10
지혜에 대한 기독교와 불교의 이해 : 기독교적 평가
ACTS 신학저널
2017 .01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맹세(盟誓)
동아인문학
2021 .12
구약의 지혜서 이해와 지혜교육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고찰
기독교교육정보
2015 .09
“지혜는 그 행한 일로 인하여 옳다함을 얻는다”(마 11:19b)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
신약논단
2020 .06
작은 지혜 큰 지혜
월간에세이
2018 .12
Journey of Wisdom from Proverbs 8 to Sirach 24: A Characteristic Trait of Hebrew Wisdom
Canon&Culture
2024 .10
잠언 8:22-31에 나타난 지혜와 창조의 역학적 관계
구약논단
2020 .03
세친의 종자설 再考
불교학리뷰
2018 .01
육상설은 어떻게 변해 왔는가? -십지경부터 지론종까지를 대상으로
불교학연구
2016 .01
경량부 종자설에 대한 중현과 무착의 비판, 그리고 세친의 딜레마
인도철학
2017 .01
경량부-세친의 찰나설의 재고 ‒ 찰나의 연속과 단절에 대한 중관학파 제논사의 해석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
2016 .01
『 무량수경』 제18원의 연구 _제20원과 관련하여_
인도철학
2023 .04
불교의 행복 개념과 인식
철학논집
2015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