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은 가르칠 것을 선정하고 배열해 놓은 것이다. 교육과정은 학습자, 교육현상, 언어현상에 따라 변화한다. 교육과정이 변화하면 교육 내용도 변화한다. 하지만 여덟 번의 초등학교 문법 영역 교육과정 변화 속에서 바뀌지 않는 교육내용은 시대가 바뀌어도 학습자들이 익혀야 할 핵심 내용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통시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 초등학교 문법 교육의 핵심 내용을 분석해보았다.
초등학교 문법 교육의 핵심 내용은 교육과정에 따라 언어 단위로 추출하였다. 한글학습에서는 ‘한글 낱자를 바르게 읽고 쓰기, 소리와 표기가 다른 낱말을 바르게 소리내어 읽고, 정확하게 표기하기’를, 낱말 학습에서는 ‘형태에 따른 낱말 분류와 용언의기본형 이해하기, 낱말을 분류하고 사전 활용하기, 조어법을 이해하고 낱말 확장하기, 낱말의 의미 관계 이해하기, 동형이의어와 다의어 이해하고 해석하기’를 핵심 내용으로선정하였다. 어휘 학습에서는 ‘높임말 알고 바르게 사용하기, 표준어와 방언 이해하고적절하게 사용하기, 고유어의 의미와 가치 알기, 속담과 관용어 알고 상황에 맞게 사용하기’를, 문장 학습에서는 ‘문장의 개념과 구조 이해하고 활용하기, 문장을 확장하고 연결하기, 의도에 따라 다양한 문장 표현하기, 문장 성분 이해하고, 호응 관계에 적절한문장 만들기’를 핵심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태도와 국어에 대한 학습에서는 ‘한글의 특성을 이해하고 바르게 사용하기, 상황에 적절한 언어 표현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언어에대한 민감성을 갖고 언어 규칙 탐구하기’를 핵심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본고에서 선정한 핵심 내용은 앞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이 고시되더라도 초등학교 문법 교육의 학습 내용 선정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iculum is a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what to teach. The curriculum changes according to learners, educational phenomena, and language phenomena. As the curriculum changes, the content of education changes. However, the educational content that does not change in the eight elementary school grammar curriculum changes can be seen as the core content that learners need to learn even if the times change. Therefore, the cor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general change process in the grammar area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The cor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ere extracted by language according to the curriculum. In Korean learning, “Reading and writing Korean letters correctly, reading and writing words with different sounds and notation correctly, and understanding basic types of words according to form, classifying and using words in advanc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ds, and interpreting homozygous words and multi-words.” In vocabulary learning, ‘Knowledge and use high words correctly, understand and use standard words and dialect properly, know the meaning and value of native words, understand and use proverbs and idioms according to situations’, and ‘Expression and connection of sentences according to intention’, were selected as key contents. In the learning of attitudes and languages, the core contents were ‘understanding an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Hangul correctly, understanding and utilizing appropriate language expressions in situations, and exploring language rules with sensitivity to language’.
The core contents selected in this paper can be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learning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grammar education even if a new curriculum is announc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