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공통감과 취미판단 그리고 상상력 –칸트와 아렌트 사상을 중심으로-
현상학과 현대철학
2022 .06
아프리오리한 종합판단으로서의 취미판단의 성립과정
대동철학
2023 .06
헤겔의 현존재의 판단론 비판
동서철학연구
2018 .01
칸트의 취미판단에 담긴 해석학적 의미
현대유럽철학연구
2021 .01
칸트의 무한판단론 고찰
동서철학연구
2019 .01
칸트의 “미적 공통감” 개념과 그 인간학적 함의
동서철학연구
2022 .09
맹자 윤리학에 기초한 도덕 판단 모델 연구
윤리연구
2020 .01
Can Artificial Intelligence Know about Beauty? ? A Kantian Approach
인공지능인문학연구
2018 .10
칸트 미학에서 ‘취미의 자율성’ 문제 - 칸트의 수사적 예술 비판을 중심으로 -
美學(미학)
2017 .01
칸트 미학과 인식의 문제
美學(미학)
2018 .09
칸트의 취미비판에서 감성의 역할
철학논집
2021 .01
음악에 대한 취미판단의 특징에서 교화의 문제 : 칸트의 『판단력 비판』 §53, 음악에 대한 부정적 평가로부터의 접근
칸트연구
2016 .01
취미 도야의 방식과 이를 통한 인성의 교화 및 문화발전의 가능성 : 칸트의 『판단력비판』 §§32-33 부정적 취미판단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7 .06
영국 경험주의 취미론의 최종점: 흄과 버크의 취미 이해
美學(미학)
2022 .12
불쾌의 취미판단의 가능 근거의 발견 : Ⅰ. 칸트의 숭고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철학연구
2015 .03
<실천이성비판>, ‘분석론’의 구성에 대한 하나의 해석
칸트연구
2024 .06
칸트의 미학적 비인지주의 미적 경험과 판단에서 ‘관심’ 및 ‘개념’의 지위와 역할에 관하여
美學(미학)
2017 .01
니체의 취미 판단
동서철학연구
2022 .09
The Priority of Imagination in Judgment : Hannah Arendt’s Interpretation of Kant and its Problems
철학사상
2017 .08
칸트 『판단력비판』에서 미와 도덕성의 관계 : 반성적 판단력을 중심으로
동서인문학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