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百濟 熊津期 前方後圓墳 연구의 쟁점과 과제 -피장자의 성격을 중심으로-
탐라문화
2021 .11
문헌을 통해 본 전방후원형 고분의 축조 배경과 피장자
백제문화
2024 .08
영산강유역 원형분의 출현 배경과 의미
야외고고학
2018 .01
무덤 양식과 출토유물을 통해 본 5~6세기 백제와 왜의 외교관계
한국사학보
2021 .11
백제 서남부지역 최근 고고학적 조사 현황과 과제
백제연구
2023 .02
고고자료로 본 고대 영산강유역과 큐슈지역과의 교류관계
역사학연구
2019 .01
나주 정촌고분을 통해 본 5~6세기 백제 중앙과 지방의 무덤 양식 공유
한국사학보
2019 .11
백제의 고창·영광지역 지배 과정과 그 추이
백제학보
2023 .05
5∼6세기 榮山江流域圈의 動向과 倭系古墳의 意味
백제학보
2017 .01
정치경제적 관점에서 본 5-6세기 영산강 고분사회의 구슬 교역·유통·소비
한국고고학보
2022 .06
호남지역 유적조사 성과를 통해 본 마한·백제- 2016년을 중심으로 -
백제학보
2017 .01
영산강유역 대형석실묘 출토 목관부속구의 변천과 의미
한국고고학보
2024 .03
백제 고분벽화 연구
역사와경계
2019 .09
일본 속 백제 유물의 범위와 의미
백제문화
2015 .08
2021~2023년 호남지역 백제고고학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영산강・고흥반도권을 중심으로-
백제학보
2024 .05
백제의 화성・오산 일대 진출과 지역 장악
백제학보
2024 .05
익산지역 마한문화의 성립과 변천
마한백제문화
2024 .06
전북지역 위세품 부장 고분의 성격
호남고고학보
2022 .10
호남지역 마한·백제 발굴자료의 현황과 특징 -2014년을 대상으로-
백제학보
2015 .01
호남지역 고려사회 형성의 역사적 특징
한국중세고고학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