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송충기 (공주대학교)
저널정보
역사학회 역사학보 歷史學報 第256輯
발행연도
2022.12
수록면
65 - 94 (30page)
DOI
10.16912/tkhr.2022.12.256.65

이용수

DBpia Top 1%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the so-called posthumanist history and review its controversies and outlook. It has emerged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s of environmental history, global history, big history etc., which have criticized the anthropocentric view in modern historical writing. One of example of it is the debate over the ‘Anthropocene’. However, the tendency of the posthumanist history can also be seen especially in animal and material history, even if the posthumanism is now still more pronounced in the former than the latter. In terms of methodology, it is desirable to apply Bruno Latour et al.’s ‘Actor-Nework Theory’ in this field and try to identify the various connections between humans, animals, and materials. A great problem in this case lies in the different temporaliti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elements. The prospect of the new historical writing, which challenges not only the modern historiography but also the history itself, depends on solving this problem.

목차

I. 서론: ‘인간’ 개념에 대한 도전
II. 현황: 역사학에서 동물 및 물질로의 전환
III. 방법론: 인간과 비인간의 ‘연결’
IV. 풀리지 않은 문제: 시간성의 불일치
V. 맺음말: 진보에서 진화로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