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매음녀’ 연작: 물질화된 여성성의 세계
3. ‘성자의 권리’ 연작: 인간 죽음을 폭로하는 주체이자 객체
4. ‘진료실’ 연작: 완성된 존재를 위한 새로운 주권 영역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연주 시의 여성 주체와 비천한 육체의 재현
돈암어문학
2020 .12
번제에 이르는 시와 삶, 혹은 사라지는 매개자 : 이연주의 시와 삶에 대한 소고(小考)
비평문학
2018 .12
이연주 시에 나타난 ‘사제 되기’ 주제의 작동 양상 연구
비평문학
2023 .12
이연주 시의 가족 모티프 연구
어문학
2020 .06
1990년대 여성시에 나타난 이중성 연구 -박서원, 이연주 시를 중심으로
어문학
2023 .09
이연주 시에 나타난 탈식민주의페미니즘과 재현의 정치학 - 『매음녀가 있는 밤의 시장』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2019 .09
연암(燕巖)의 산문 저작 속 음주 콘텐츠
인문사회과학연구
2022 .05
여성시와 여성혐오(misogyny) - 최승자와 이연주를 중심으로 -
돈암어문학
2022 .12
조선후기 悼亡錄의 편찬과 그 의미
대동문화연구
2021 .12
이연주 시의 바람 이미지와 정동 정치
비평문학
2022 .06
연애서사에 나타난 4·19 혁명의 가족로망스적 서사화 -정연희의 『목마른 나무들』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4 .06
주시경이 바라본 국어
언어사실과 관점
2015 .01
新羅 良・尙・康州 出土 唐式 帶裝飾具의 分布 定型
영남고고학
2022 .01
연호 이주환의 시문학에 대한 연구
동방한문학
2019 .01
국가와 정치 그리고 문학의 상관성 - 이동주의 생애를 중심으로
어문논총
2023 .08
윤동주에 대한 기억-2017년 3월 인터넷 사용자의 윤동주 인식 : 윤동주 연구.10
현대문학의 연구
2017 .06
High vocoids in English : A diachronic analysis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15 .12
『신문학』의 문학사적 위상
현대문학이론연구
2017 .01
연개소문의 후계구도 정립과 死亡
대구사학
2018 .01
기억의 종말로서의 죽음 판타지 - 이연주 論 -
문학치료연구
2016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