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Friend Influence on Aggressive and Pro-Social Behaviors in Elementary Schools: Significance of Peer Network Based School Counseling
한국초등교육
2015 .01
Social Dominance Goals Matter in Friendship Dynamics Around Aggressive Behavior: Longitudinal Social Network Perspective
한국심리학회지:학교
2018 .01
Friendship Dynamics of Prosocial and Aggressive Behaviors in the Classroom: Examining the Role of Gender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8 .01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방어적 또래지지에 의해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과실천
2020 .01
청소년소설의 성장 담론 연구 - 또래 문화를 중심으로 -
인문사회 21
2015 .01
또래괴롭힘 피해경험 학생들이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자가 되는 경로에서 교사의 차단적 역할 검증
한국심리학회지:학교
2019 .01
청소년기의 사이버 불링(Cyber Bullying)상황에서 피해자, 가해자, 방관자의 심리적 도피처인 가족과 친구의 사회적 지지감에 대한 인식비교
한국소통학보
2020 .01
청소년의 사회적 지배 목표가 사회적 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친구 관계의 질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20 .01
초등학생의 지각된 부/모의 폭력 및 비폭력에 대한 지지, 또래괴롭힘에 반대하는 태도와 가해행동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7 .01
학교폭력에 대한 음악적 중재방안
한국범죄심리연구
2020 .01
청소년의 학업-사회적 행동 프로파일 중심으로 살펴본 또래 지위와 학업 규범이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9 .01
자기보고와 또래지명 방식에 따른 학교폭력 경험의 측정 방법 비교 분석
상담학연구
2015 .08
초기 청소년기 또래거부의 사회화 과정: 친구네트워크와 교사-학생 관계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8 .01
Teachers` Emotional Support Affects Friend Influence on Early Adolescents` Aggressive Behavior
교육심리연구
2015 .06
부모갈등과 교사행동이청소년의 심리적응 및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018 .01
초기 청소년기의 또래네트워크가 공격성의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또래 공동체 의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2017 .01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청소년의 도덕적 정체성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의 매개효과
아시아교육연구
2020 .06
형제자매 괴롭힘 경험과 내면화 문제간의 관계에서 친구관계의 질에 의해 조절된 또래 괴롭힘 경험의 매개효과 - 일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상담학연구
2017 .04
청소년의 공감과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질과 또래동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