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
Abstract
1. 서론
2. 조선시대 의주대로의 길목으로서의 파주와 중심지
3. 일제시기 경의선이 지나는 파주와 중심지
4. 현대 접경지역으로서의 파주와 중심지
5. 결론
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he Eclectic Heritage-Scape of a Tense Border in the Paju DMZ, South Korea
Korea Journal
2023 .06
접경지역의 도시지정학 : 경기도 파주시 대북전단살포 갈등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2018 .10
포스트식민 한국에서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의 전유 - 초기 현대 지리학에서 ‘한국의 위치’의 사례 -
대한지리학회지
2022 .10
파주 출판도시 콘텐츠 활성화 기반 구축 방안
정책연구
2024 .10
DMZ 접경지 관광 개발의 방향성 고찰: 경기도 파주시를 중심으로
융합관광콘텐츠연구
2022 .08
DMZ 접경지역의 지속가능한 관광에 관한 탐색적 연구: 파주·연천지역을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2021 .12
Toward a Geopolitics of Korean Tourism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22 .11
아래로부터의 지정학: “한국의 히로시마” 합천의 원폭피해자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2020 .04
갈등과 협력의 동북아 지정학 - 동향과 과제 -
국토지리학회지
2016 .09
파주시 RE100 이행 전략 연구
정책연구
2024 .12
한반도의 집중과 개입·확산의 글로벌 지정학
글로벌교육연구
2023 .06
파주 지역 역사문화유산의 관광 클러스터 구축 방안: 파주 허준 묘역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2023 .02
Geopolitics Goes Back to the Future : Classical Geopolitics: A New Analytical Model By Phil Kelly
Global Asia
2016 .03
파주시 작은도서관 운영 개선방안 연구
정책연구
2024 .06
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시진핑 시기 중국 외교 :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을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2015 .06
다중위기의 시대, 한국 지정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공간과 사회
2024 .03
DMZ 및 접경지역 관광지 이미지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020 .10
DMZ 접경지역 남북접경무역지구 설치 방안 연구
정책연구
2024 .12
파주시 수소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정책연구
2021 .11
DMZ 관광 연구트렌드 분석: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하여
관광레저연구
2020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