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동아시아일본학회 일본문화연구 日本文化硏究 第82輯
발행연도
2022.4
수록면
57 - 80 (24page)
DOI
10.18075/jcs..82.202204.05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제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과 일본의 항복 이후, 승전연합국은 전쟁범죄를 저지른 집단에 대한 재판과 처벌이라는 과제를 수행해야 했다. 독일과 일본의 전범처리는 이른바 ‘주요전범’을 뉘른베르크국제군사재판소와 도쿄의 극동국제군사재판소에서 재판했고, 이후에 BC급 전범을 처벌하기 위한 ‘후속 재판’이 연합군의 포로가 수용된 각 지역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되었다. 독일의 전범처리가 비교적 국제법에 따라 엄정하고 공정하게 이루어진 반면, 일본의 전범처리는 미국의 주도하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전범처리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미국의 영향이 미치지 않았던 신중국의 전범재판에서는 조금 다른 결과가 나왔다. ‘인죄’(認罪)와 ‘개조’라는 정치적 실험을 통한 전범정책의 결실인 전범재판에 선 전범들이 가해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많은 전범이 귀국 후 중일우호와 반전 평화운동에 헌신하는 등 정치공동체의 연대책임을 내면화한 주체들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신중국 전범재판의 사례는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사죄한 가해자와 피해자 관계의 재설정, 그리고 그들의 증언을 듣고 기억을 나눠 가짐으로써 ‘당사자성’을 획득한 사람들이 보여주는 ‘집단기억’ 형성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목차

국문초록
서론
제1장 국민정부와 신중국의 전범재판, 그 관대함의 차이
제2장 옌안의 유산, 신중국 전범정책의 기원
제3장 신중국 전범재판을 통해 본 국제법의 가치
제4장 증언의 힘, 전범들의 귀환 이후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日本語抄録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