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PARK Sa-Ra (Texas State University)
저널정보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장신논단 장신논단 Vol.53 No.4
발행연도
2021.11
수록면
241 - 263 (23page)
DOI
10.15757/kpjt.2021.53.4.010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마틴 루터의 “내 주는 강한 성이요”는 개신교인들에게 잘 알려진 찬송가이다. 많은 작곡가들이 루터의 찬송가에 영감을 받아 합창, 오르간, 오라토리오, 그리고 오페라를 위해 작곡하였다. 그 중 “위그노 교도들”은 1836년에 독일인 마이어베어가 작곡한 오페라로 1572년에 파리에서 일어난 끔직한 위그노 학살을 내용으로 담고 있다. 마이어베어는 그의 오페라에서 루터의 “내 주는 강한 성이요”를 위그노(프랑스 개신교도들)와 관련된 부분에서 사용하므로써 루터의 찬송가는 개신교와 개신교도들을 대표하는 상징적 의미로 부각되였다. 루터 찬송가는 유럽에서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의미있게 수용되었다.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그리고 오늘날에도 루터의 “내 주는 강한 성이요”는 한국 개신교인들에게 즐겨 불리우고 있다. 2011년 한국 교회음악가인 박재훈 목사님이 작곡한 오페라 “손양원”을 통해 루터 찬송가의 영향을 짐작할 수 있다. “손양원”과 “위그노 교도들”은 다른 시기, 다른 배경, 그리고 다른 작곡가에 의해 작곡 되었지만 두 오페라 모두 종교적 색채를 띄고 있고, 또한 루터의 찬송가를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연결 가능한 고리를 제공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두 오페라를 살펴보므로써 루터의 찬송가 “내 주는 강한 성이요”의 의미와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THE OPERA SON YANG WON
III. THE OPERA LES HUGUENOTS
IV. INTERPRETATION
V. CONCLUSION
Bibliography
한글 초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