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머리말
1. 고려 후기 외국인 사향(賜鄕) 사례 분석과 특징
2. 조선 초 외국인 사향(賜鄕) 요청과 배경
3. 『세종실록』 지리지 사성(賜姓)·투화성(投化姓)의 성격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儒家의 인간 규정에 대한 三才的 意味
동서철학연구
2015 .09
孝順事實 과 三綱行實孝子圖 간의 거리 -15세기 朝ㆍ明이 구상한 ‘유교적 인간다움’의 공유 방식 고찰-
동방한문학
2024 .06
조선후기 대구부 同姓마을의 형성시기에 대한 검토 : 『경상도대구부호적대장』을 중심으로
사학연구
2016 .09
조선후기 평민 同姓마을의 형성과 특징 : 大丘府 解北村 廣里의 丹陽 禹氏 사례
사학연구
2017 .12
[연구노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본관 10488-6호〉 묘지 판독
사학연구
2018 .12
조선후기 同姓마을의 형성과 洞約의 성격 변화 -慶尙道 丹城縣 法勿也面 洞案의 분석
역사문화연구
2020 .01
숙대본 A를 활용한 <김희경전>의 정본 구축 방안
어문학
2016 .06
17~18세기 초 울산호적대장의 여성 지칭어와 호주의 직역관계 : ‘氏’와 ‘召史’를 중심으로
역사와경계
2015 .09
목천의 지방세력과 천안부의 성립
역사와 담론
2017 .10
8세기 肖奈氏의 中央貴族化와 改賜姓
고구려발해연구
2020 .03
유가행파 오성각별설의 연원에 대한 고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2021 .12
宋代『紹興十八年同年小錄』에 나오는 本貫의 의미 - 比較史의 觀點에서 한국의 本貫制度를 바라보다 -
사림
2016 .01
선조대 이원익의 백성관과 정치관 연구
동양고전연구
2018 .01
조선후기 改名의 증가와 그 사회적 의미
역사와실학
2017 .11
百濟 大姓八族과 東아시아 8姓
동국사학
2022 .08
3·1운동 100주년의 역사영화와 여성 ―서대문형무소 여옥사 8호실과 〈항거: 유관순 이야기〉
역사비평
2020 .02
A Sociolinguistic Considerations of Linguistic Landscapes in Jeju
언어학연구
2017 .01
사료의 재검토를 통해 본 高麗 윤관의 女眞征伐
역사학보
2021 .06
조선후기 관왕묘(關王廟)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그 의미 : 18세기 서울 동·남관왕묘를 중심으로
역사와현실
2016 .09
에도 하나시본(江戸噺本)속의 수수께끼 –한일비교를 통해 본 문답형식의 특징–
일본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