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머리말
Ⅰ. 丹陽 禹氏 同姓마을의 형성시기
Ⅱ. 인적 구성의 확대와 他 姓貫의 배제과정
Ⅲ. 同姓마을 구성원의 혈연적 연관성과 혼인관계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후기 대구부 同姓마을의 형성시기에 대한 검토 : 『경상도대구부호적대장』을 중심으로
사학연구
2016 .09
儒家의 인간 규정에 대한 三才的 意味
동서철학연구
2015 .09
孝順事實 과 三綱行實孝子圖 간의 거리 -15세기 朝ㆍ明이 구상한 ‘유교적 인간다움’의 공유 방식 고찰-
동방한문학
2024 .06
조선후기 同姓마을의 형성과 洞約의 성격 변화 -慶尙道 丹城縣 法勿也面 洞案의 분석
역사문화연구
2020 .01
17~18세기 초 울산호적대장의 여성 지칭어와 호주의 직역관계 : ‘氏’와 ‘召史’를 중심으로
역사와경계
2015 .09
달을 품은 마을
푸른사상
2022 .05
모여 사는 마을
월간에세이
2018 .02
꿰맨 눈의 마을
자음과모음
2023 .03
잃어버린 마을들 외 1편
시조시학
2016 .12
고려 후기·조선 초 외국인 사향(賜鄕)과 투화성(投化姓) 고찰
역사와현실
2021 .12
목천의 지방세력과 천안부의 성립
역사와 담론
2017 .10
작은 마을의 작은 글
월간에세이
2020 .05
8세기 肖奈氏의 中央貴族化와 改賜姓
고구려발해연구
2020 .03
우리 마을 공동급식 : 마을마다 다 다른, 함께 먹는다는 의미
월간 옥이네
2023 .02
유가행파 오성각별설의 연원에 대한 고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2021 .12
[옥천, 마을, 공동체] 아무튼, 마을
월간 옥이네
2023 .08
선조대 이원익의 백성관과 정치관 연구
동양고전연구
2018 .01
조선후기 改名의 증가와 그 사회적 의미
역사와실학
2017 .11
百濟 大姓八族과 東아시아 8姓
동국사학
2022 .08
마을이 품고 있는 가치를 시로 풀어내는 수업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