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1950년대 전후 세대의 현대시조에 나타난 불교적 양상을 통해 고유한 정형 양식과 그 의미를 탐구했다. 현대시조 문학사에서 1950년대 전후 시조는 현대시조 개척기로 평가한다. 현대시조 개척기의 전개 과정은 1910년대 현대시조 태동기와 1920~40년대 현대시조 모색기를 거치면서 발생 되었다. 1920년대 최남선, 이은상, 이병기 조운 등에 의해 펼쳐진 ‘시조부흥운동’과 함께 고시조라는 구태를 벗었다면 1950년대 시조 개척기에 현대문학 장르로써 시조가 본격적으로 확립되었다. 일제강점기에서 산업화 시대 사이에 놓인 당대의 문학은 전통과 순수로 구성되면서 세대의 변화와 함께 첨예한 대립을 촉발했다. 당시 소수 시조 시인들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의 참상과 폐허 속에서 실존의 위기를 경험하면서 1950년대의 전통적 세계관을 시조 문학을 통해 열어갔다. 이들은 민족 유일한 주체적 언어로서 시조를 옹호하며 고전적 미의식과 형식미학을 펼쳤다. 게다가 개화기 근대시조 형성기와 현대시조 개척기에서 고수한 전통성을 수용하면서도 반근대적인 시조 형식의 변화를 모색했다. 이 가운데 삶의 변화와 시대적 문제를 시조를 통해 관찰하면서 이전에는 없었던 다양한 불교적 사유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950년대 전후 세대 불교의식을 살피기 위해 2장에서는 1950년대 전후 시대와 시조를 고찰한다. 이어 3장에서는 전후 세대의 시조와 불교의식의 양상으로 세 가지로 분류해서 탐구했다. 먼저 1950년대 시조에서 불교적 사유로 구성된 시편을 통해 유사한 형식으로 형성된 작품군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이 글은 텍스트 시편에서 두드러진 불교적 사유인 자연적 인과성, 부처의 표상, 인드라망의 세계 등을 시적 양식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단시조, 연시조, 산문적 시조로 살폈다. 첫째 단시조와 자연의 인과성에는 이호우, 이영도, 최승범, 송선영을, 둘째 연시조와 부처의 표상에서는 김상옥, 박병순, 이태극을, 셋째 산문적 시조와 인드라망의 세계에서는 정소파, 장순하, 박경용 등의 시조를 중심으로 전후 세대 불교의식을 고찰했다. 1950년대 전후 세대 시조 개척기 시조 시인들은 시대적 좌절과 폐허 속에서 시조로서 전통의식을 추구하며 시조 부흥에 이바지했다. 그것은 저마다 시의식 속에서 민족 정서를 보존하고 시대정신을 계승하는데 불교적 사유가 결합 되어 나타난다. 이처럼 혼돈과 격동의 시기 불교적 사유를 가진 시조는 초월적인 것보다는 현실적으로 연원하며 실존적인 문제를 파고들고 있다는 것이 특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sijo orthopedic style and its meaning through the contemporary sijo Buddhist aspects of the generation around the 1950s.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sijo literature, sijo before and after the 1950s is evaluated as a pioneering period of contemporary sijo.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odern sijo pioneering period occurr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modern sijo in the 1910s and the search for the modern sijo in the 1920s and 40s. If the old form of ancestor sijo was removed along with the ‘Sijo Revival Movement’ conducted by Choi Namseon, Lee Eunsang, Lee Byeonggi and Jo Un in the 1920s, Sijo was established as a genre of contemporary literature during the pioneering period of sijo in the 1950s. The contemporary literature, which was placed betwee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is composed of tradition and innocence, triggering a sharp confrontation along with the change of generations. At that time, the minority sijo poets experienced th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iberation, and the crisis of existence in the tragedy and ruins of the Korean War, and opened their world view through the sijo literature in the 1950s. They defended Sijo as the nation"s only independent language and cultivated classical aesthetics and formal aesthetics. While accommodating the traditions adhered to in the period of the formation of modern sijo and pioneering period of contemporary sijo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anti-modern sijo change was sought. By observing the changes in life and the problems of the times through sijo, it reveals a variety of Buddhist thinking that has never existed before. In order to examine the Buddhist consciousness in the before and after period in the 1950s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this article, Chapter 2 examines the before and after period and sijo of the 1950s. In Chapter 3, we sought to classify the founders of the before and after generation and Buddhist consciousness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is study focused on a group of works formed in a similar format through the psalms composed of Buddhist thought in Sijo in the 1950s. Therefore, this article analyzed the Buddhist thoughts prominent in text psalms, such as natural causality, Buddha"s representation, and the world of Indraman, by dividing them into short sijo, sequence sijo, and prose sijo in poetic style. Studying on Buddhist consciousness of before and after generations focusing on sijo, the sijo poet of the text sijo, first, Lee Hou, Lee Yeongdo, Choi Seungbeom and Song Seonyeong for the short sijo and the natural causality, second, sequence sijo and Buddha"s representation, Kim Sangok, Park Byungsoon, Lee Taeguk, prose sijo and the world of Indraman, Jeong Sopa, Jang Soonha, Park Kyungyong. The sijo poets of the before and after generation in the 1950s who were examined in this way contributed to the revival of sijo by pursuing traditional consciousness as sijo amidst the frustration and ruins of the times. It preserves the ethnic sentiment in each ritual and manifests itself in combination with Buddhist reasons to inherit the zeitgeist. Buddhist consciousness, which appeared in a time of chaos and turbulence, operates realistically rather than transcendentally, and delves into existential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