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은규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림성심병원 이비인후과교실) 조지원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림성심병원 이비인후과교실) 최효근 (한림대학교)
저널정보
대한평형의학회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14 No.2
발행연도
2015.1
수록면
46 - 49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Background and Objectives: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sub-jective dizziness complaints in general pop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We evaluated data from 12,653 subjects who were interviewed between 2010 and 2012. Results: The prevalence of subjective dizziness was 21.7%. Female gender (adjusted odds ratio, AOR=1.959; 95% con-fidence interval [CI], 1.680−2.284; p<0.001), lower alcohol consumption (refer-ence ≤1 time a month; 1−4 times a month [AOR]=0.844, 95% CI=0.752−0.948; ≥2 times a week, AOR=0.812, 95% CI=0.705−0.935, p=0.002), higher stress (AOR=1.784, 95% CI=1.613−1.973, p<0.001), lower income (reference=lowest; middle low, AOR=0.815, 95% CI=0.720−0.923; middle high, AOR=0.696, 95% CI=0.606−0.799; highest, AOR=0.682, 95% CI=0.594−0.784, p<0.001) increased odds ratio of subjective dizziness, while body mass index and smoking was not associated with subjective dizziness. Conclusion: This large population-based study provides reliable information about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subjective dizziness of Korean population.Res Vestib Sci 2015;14(2):46-49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